산업은행 조직개편…'구조조정 기능' 강화
산업은행 조직개편…'구조조정 기능' 강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위 '정책금융 역할강화 방안' 반영…1개 부문 축소

[서울파이낸스 정초원기자] KDB산업은행은 기업구조조정 기능을 강화하고, 정책기능 위주로 투자은행(IB) 업무를 재편하는 조직개편을 실시했다.

31일 산업은행은 지난 11월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정책금융 역할강화 방안'을 반영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11부문 7본부 55부(실) 82개 지점은 10부문 6본부 54부(실) 81개 지점으로 축소됐다.

먼저 구조조정본부는 구조조정부문으로 격상됐다. 경기민감·한계기업에 대한 선제적이고 체계적 관리를 통해 신속한 구조조정을 실시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구조조정부문 산하에 투자관리실을 신설해 투자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정책금융재원의 회수를 촉진할 계획이다.

창조기술금융부문과 간접금융부문은 창조금융부문으로 통합해 기업 투·융자 지휘체계를 일원화했다. 미래성장동력 산업 지원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성장금융1·2부문을 미래성장금융부문으로 합쳤다.

또한 지역개발실은 폐지하고 사모펀드1·2실을 통합해 시장마찰을 야기하는 상업적 IB업무를 축소했다. 여기에 사업재편, 산업구조조정 촉진 등 정책적 IB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부문도 재편했다.

아울러 해외전담 PF3실을 신설해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지원기능을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분석부의 분석 업종을 넓히고 신용평가부를 새로 만들어 심사평가부문을 확대했다.

산업은행은 내년 8월1일 시행되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을 선제적으로 반영해 법무지원부와 소비자보호부를 준법감시인에 편입할 계획이다. 준법감시 조직을 확대해 금융사고 예방과 내부통제를 한층 더 강화시킨다는 방침이다.

전영삼 산업은행 기획조정부장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성장단계별 및 미래성장동력 지원체제 구축, 미성숙 분야의 금융시장 선도, 시장실패 보완 등 선제적이고 능동적인 정책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