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1기 신도시 조성이후 최대 규모…"공급과잉 대비책 필요"
[서울파이낸스 나민수기자] 오는 2017년~2018년 2년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70만 가구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는 1기 신도시가 조성된 1990년대 이후 최대치로, 준공(입주) 후 미분양 증가 등 과잉공급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2017년~2018년 전국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은 70만여 가구로, 2년 단기 입주물량으로는 1기신도시가 조성된 90년대 이후 최대로 나타났다. 1기신도시가 집중적으로 조성된 1994년~1995년과 1997년~1998년에는 각각 82~83만가구가 공급된 바 있다.
윤지혜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선임연구원은 "1기 신도시 조성 당시엔 주택보급률이 70~80% 수준이었던 반면 2014년 현재 118%로 주택부족 문제는 상당 수준 해결됐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단기 70만 가구가 쏟아진다면 전월세 시장의 불안 해소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초과공급에 따른 '소화불량'도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과거 2002년~2008년 당시 부동산 시장의 성장과 밀어내기 분양이 급증하며 연 평균 입주물량이 약 33만가구 쏟아졌는데 당시 초과 공급에 따른 부작용으로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이 2~3배 가량 폭증했다. 특히, 할인 분양과 이에 따른 반발로 기존 계약자 입주 거부 사태, 청약 경쟁 미달사례 등이 속출했다.
뿐만아니라 불과 3~4년 전에도 준공 후 미분양을 해소하지 못한 건설사가 '매매보장제' 등 전세 조건의 분양 계약이란 새로운 분양방식을 들고 나오면서 보증금 미 반환 등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다. 입주 시점에 분양가격 이하로 떨어진 '고분양가' 단지들로 인한 이른바 '하우스 푸어'도 양산됐다.
이런 가운데 최근 KDI(한국개발연구원)등 국책연구기관들도 2017년~2018년 발생할 미분양물량 급증에 대해 우려감을 표시한 바 있다.
윤 연구원은 "미분양주택의 선행지표인 청약경쟁률도 최근 2015년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분위기가 역력하다"며 "본격적인 입주까지는 아직 1년여의 시간이 남아있지만 불안감은 코 앞에 다가온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래 특정 시점(2017년~2018년)과 특정 지역(경기, 일부 지방) 공급 과잉 또는 수급불균형 문제가 불거지지 않도록 사전 대응과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