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회장 박병원-황영기 '접전'?
우리금융 회장 박병원-황영기 '접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회장-행장 분리로 朴 차관 우세 전망...지원자 예상보다 적어
 
[공인호 기자]<ihkong@seoulfn.com>우리금융지주 회장 후보응모자가 5명정도로 압축되면서 본격적인 인선경쟁에 들어갔다.박병원 재정경제부 차관과 황영기 현 회장이 모두 지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들 둘 간의 접전이 예상된다는 게 금융권의 관측이다. 강권석 기업은행장의 출사표도 예상됐지만, 응모자체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각에서는 장병구 수협 신용대표가 출사표를 던졌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지만, 우리금융 회장보다는 기업은행장, 또는 우리은행장 자리를 노릴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많다. 실제로 장 대표는 회장 후보에 응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금융은 5일 행장추천위원회(행추위)도 구성, 지주 회장과 은행 행장 인선이 동시에 이뤄지게 됐다. 이번 인선은 공적자금 투입은행인 관계로 정부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박 차관이 일단 가장 유력한 후보자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현직 차관이 사표를 던지고 공모에 나선다는 점에서 사실상 '내정된' 수순밟기로 보는 관측이다.
회장직과 행장직을 분리한 이유부터가 관료출신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회장은 관료 출신, 행장은 민간출신'이라는 자리 안배식 인선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회장, 행장 분리와 마찬가지로 행장인선을 동시에 하는 것도 행장자리에 민간출신을 앉힘으로써 '낙하산 회장'에 대한 반발을 최소화시키려는 의도라는 해석이다.

반면, 최종인사권자인 청와대가 아직 박 차관에 분명한 신호를 준 것은 아닌 것같다는 관측도 있다.
재경부가 박차관을 밀고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청와대 입장은 아직 분명치 않을 수도 있다는 것. 청와대와 재경부간의 관계가 그리 원만하지만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런 분석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 더구나, 박 차관은 그동안 정책추진 과정에서 청와대와 자주 갈등을 빚어온 인물이다.
이와관련, 황 회장이 출사표를 던진 것도 의미있게 받아 들여진다.
황 회장이 응모했다는 사실은 박 차관이 나오더라도  한 번 해볼만한 싸움이라는 판단이 섰기 때문일 것이고, 이는 곧 교통정리가 확실히 끝나지 않았다는 신호일 수 있다는 분석이 가능해 지기때문이다.
 
이번 공모과정은 예금보험공사에 파견된 인원이 직접 지원서를 접수하는 식으로 극비리에 진행됐는데, 당초 예상과는 달리 5명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직 재경부 차관의 응모소식이 승산이 떨어지는 일부 응모자들의 발길을 돌려 놓았기 때문이 아니겠느냐는 분석이다.  
회장추천위원회(회추위)는 서류 심사와 면접을 거쳐 이달말, 늦어도 3월 초까지 내정자를 발표한다. 회추위는 이번 주 안으로 첫 모임을 갖고 공개 모집 공고 등 향후 일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우리은행 행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행추위)도 지난 5일 구성돼 가동에 들어가 이번주 중 첫 모임을 갖고 공개 모집 공고 등 일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우리금융 회장 인선이 이달말이나 내달초 마무리되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우리금융 회장과 우리은행장 인선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는 셈이다.
현재 이종휘 우리은행 수석부행장, 정경득 경남은행장, 최병길 금호생명 대표,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 박해춘 LG카드 사장, 그리고 전광우 딜로이트컨설팅 고문(前 우리금융 부회장)도 '다크호스'로 거론되고 있다.
 
공인호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