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 신용불량자 증가세 '위험수위'
제2금융권, 신용불량자 증가세 '위험수위'
  • 서울금융신문사
  • 승인 2003.07.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 할부금융 저축銀 등 전년比 평균 44% 증가
부동산 담보인정 비율 감독강화 등 대책 마련 시급


최근 은행에 이어 제2금융권의 신용불량자 수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 등 제2금융권의 신용불량자가 지난해말 대비 평균 50% 가까이 급증한 것. 특히, 신용불량자 증가로 가계 대출의 연체율 악화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여 감독 강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관련 기사 3면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카드, 보험, 할부금융,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신용불량자 수는 277만3천888명으로 지난해 12월 197만8천297명에서 29%가량 늘었다. <표 참조> 이 가운데 카드사가 여전히 전체 신용불량자 수에서는 선두를 달렸지만 증가세는 가장 낮았다. 반면, 보험업계의 경우 생명보험사가 같은 기간 47.6%의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손해보험사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최근 연체율 상승으로 부실 위험이 가중되고 있는 상호저축은행과 할부금융사들도 신용불량자수가 각각 47.5%, 35.9% 증가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보험 등 제2금융사의 신용불량자 증가세는 지난해까지 개인 신용 및 부동산 담보 대출을 경쟁적으로 늘린 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경기 침체가 맞물리면서 가계 부실 위험이 확산, 신용불량자가 양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보험업계 한 전문가는 “그 동안 대출 사각지대로 인식되던 제2금융사들이 대출 수수료 인하 등을 통해 경쟁적으로 가계 대출을 늘려 온 게 사실”이라며 “이로 인해 신용불량자 수가 급증하면서 연체율이 악화, 대손 충당금 적립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2금융권의 연체율 악화가 가시화되면서 감독 당국이 부동산 담보인정 비율 등의 감독을 강화하고 각 금융사들이 개인신용평가를 위한 전문 인력 확충 등의 연체율 관리에 주력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image1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