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교육정책 '쟁점化'…'반대' 분위기에 인수委 '강경'
영어 교육정책 '쟁점化'…'반대' 분위기에 인수委 '강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사들 60% '반대'…李위원장 "경제회생 위해 꼭 필요"

[서울파이낸스 박민규 기자]<yushin@seoulfn.com> 새 정부의 영어교육 강화 방침에 대해 사회적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비판이나 반발이 있더라도 밀어부치겠다는 강경입장을 밝히고 나서 주목된다. 이에, 이 문제가 정부조직 개편안 중 통일부 존폐 이상의 핵심이슈로 부각될 조짐이다.

이와 관련, 이경숙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은 27일 영어교육 하나만은 분명히 챙기겠다는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이날은 공교롭게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일선 교사들을 상대로 새 정부의 영어교육정책에 대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한 날이다. 교총이 18~25일 전국 유ㆍ초ㆍ중등 교원 9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영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는 것에 대해 반대가 60%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찬성은 16.6%에 불과했다. 사실상, 현실적으로는 가능하지 않다는 얘기가 된다.

이 위원장은 이같은 분위기를 알고 작심이라도 한 듯, 이날 인수위 간사단회의에서 "영어교육은 단순히 교육이 아니라 경제회생과 미래의 청사진을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라며 "오는 30일 공청회에서 국민에게 제대로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험이 충분한 사람들이 의견을 개진했고, 여기에 따라 공교육 정상화 방침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교사수급이나 수준별 맞춤형 교육·교수법, 시설보완 등을 함께 의논해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초등학교부터 영어교육을 시작한다는 방안에 부정적인 여론이 있고 학부모들도 불안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며 "과거에 입각해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오해와 불안에서 비롯됐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특히 "영어 공교육 정상화 대책은 그 동안 굉장히 고심했다"며 "10년, 20년 노력한 것을 정리한 것인데, 단기간에 준비한 것으로 오해되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런데, 이 위원장의 이같은 강한 의지는 영어교육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평소 개인적 소신은 될지언정 인수위원장 입장으로서의 말이 지니는 의미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 위원장이 비록 오랜기간 교육자 생활을 해왔지만, 수십년 전에 언젠가 인수위원장 같은 교육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위치에 서게 될 것이라고 미리 예상하고 교육정책을 준비한 것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이 위원장이 '경제회생을 위해서'라도 새로운 영어교육정책은 밀고 나가야한다는 강경입장을 피력함에 따라, 앞으로 이에 대한 공론화와 찬반 논란은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특히, 일반 과목에 대해 수업방식을 영어로 진행하는 데 대해 일선 교사들이 반대하는 진짜 이유가 뭔지를 꼼꼼히 따져볼 경우, 충분한 토론과 검증은 더더욱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교총의 설문조사에서 반대입장을 밝힌 교사들의 반대이유는 대부분 해당과목에 대한 교육내용이 부실해질 수 있다는 점과 사교육비(영어) 부담 증가 가능성을 지목했다.

이에 대해, 상당수 일반 학부모들의 생각은 또 다른 것 같다.
교사들의 반대이유가 일정부분 일리가 있다며 수긍하면서도, 교사들의 실제 속내는 영업로 수업을 하게되면 자신들이 귀찮아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 듯하다. 이는, 교사들이 영어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 못한 데 따른 부담이라는 것이다. 즉, 인터넷시대가 도래하면서 컴맹이 컴퓨터를 배워야했던 것과 같은 부담이 생기는 데 따른 막연한 거부감이 반대이유 속에 잠재해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물론,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최근 발표된 한 자료에 의하면, 영어로 수업을 진행할 능력에 대해 상당수 교사들이 회의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같은 추측이 무리가 아닌 듯하다. 교사들부터가 독자적으로 노력을 하든가, 재교육을 받아야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에, 그동안 우리 국민들의 취약한 영어경쟁력이 잘못된 교육 방식에서 가장 크게 기인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돼 있는 만큼, 이번 기회에 현실성과 실효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대안이 사회적 합의로 제시돼야 한다는 데는 이론이 없어 보인다.

박민규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