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지수' 계산해 봤더니...소비자 물가의 '두 배'(?)
'MB지수' 계산해 봤더니...소비자 물가의 '두 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1개 주요생필품 '피부물가' 상승률 6.72%...

[서울파이낸스 문선영 기자]<moon@seoulfn.com>통계상의 물가와 체감물가(장바구니 물가)와는 항상 어느 정도 괴리가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격차가 두 배나 난다면 지나치다. 현재의 상황이 그렇다.
 
일반인들이 많이 쓰는 주요 생필품의 가격을 별도로 계산한 3월 '피부물가지수' 상승률은 6.72%나 됐다. 정부의 올해 물가관리 목표치의 두 배를 넘는 수치다. 

이는, 이명박 대통령이 서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물가지수를 별도로 만들어 보라는 지시에 의해 구성된, 이른바 'MB지수'에서 변동치가 크지 않은 주거비(전월세가격)를 뺀 수치로 계산된 것. 사실상의 'MB지수'나 다름없다. 현재(2월 기준)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3%대 후반을 맴돌고 있다

3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정부가 최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고 가중치가 높은 52개 품목의 3월 'MB 물가지수'는 111.01로 지난해 3월의 104.94에 비해 5.7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피부물가를 반영하는데 시간차가 큰 주거비를 제외하고 나머지 51개 품목만 계산할 경우 물가지수는 112.89로 지난해 같은 달의 105.78에 비해 6.72%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489개 품목을 모두 포함한 물가상승률과 비교하면 거의 두 배에 육박하는 셈이다.
 
정부가 이른바 MB지수에 전월세 가격을 포함시켜 52개 품목을 선정했으면서도 지수로 작성해 공식발표하지 않기로 한 것은 전월세 가격이 피부로 느껴지는 전월세 가격 동향을 즉각 반영하지 못해 통계의 정합성도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한 것.

기획재정부 측은 52개 품목에 대해 지수를 만들지 않기로 한 만큼 이번에는 이 품목에 대한 물가상승률 지수를 별도로 계산해보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다만 2월치 자료로 시범적으로 계산했을 때는 52개 품목을 모두 합하면 5%대 초반, 주거비를 빼면 6% 내외로 나타났다. 

한편, 통계청 집계로 전세는 전년 동월 대비 2.2%, 월세는 1.4% 각각 올랐지만 올들어 서울 강북지역의 주택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고 최근 이사철을 맞아 서울,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도 전세값 오름세가 뚜렷한 점을 감안하면 '피부물가'는 이 보다 상승폭이 훨씬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선영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