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지난해 사회적 가치 2.5조원 창출···AI·ICT 기반 '사회성과'
SKT, 지난해 사회적 가치 2.5조원 창출···AI·ICT 기반 '사회성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V 측정 결과 전년 대비 18.4% ↑···AI돌봄·보이스 피싱 예방 서비스가 성과 견인
지난해 SKT 사회적 가치 창출 결과. (사진=SKT)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SK텔레콤이 AI(인공지능)∙ICT(저보통신기술) 기반 제품과 서비스들을 통해 전년대비 높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SKT는 지난해 SV(사회적 가치) 측정 결과 지난 2021년 대비 18.4% 증가한 2조 4927억원의 가치를 창출했다고 8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자사가 보유한 ICT 인프라 고객 접점을 활용해 지난 2018년부터 사회적 가치를 화폐화해 측정하고 있다.

영역별로는 △고용·배당·납세 등 '경제간접 기여성과'가 전년 대비 0.3% 증가한 1조 9277억원 △환경 공정·제품·서비스 등 '환경성과'가 2.7% 감소한 -1,111억원 △노동·동반성장·사회공헌 등 '사회성과'는 131.3% 증가한 6,761억원으로 집계됐다.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고용 확대와 사업군별 경영실적 등을 통해 높은 실적을 거둔 지난 2021년 수준을 유지했으며 '환경성과'는 에너지 효율화 및 재생 에너지 적용에도 5G망 확대 등 지속적인 인프라 투자로 소폭 감소했다.

'사회성과'는 SK텔레콤의 'AI 컴퍼니' 비전과 연계한 ICT 기술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긍정적인 가치를 전하며 전년 대비 131.3% 성장했다.

SKT는 특히 지자체와 치매안심센터 등을 중심으로 제공하는 'AI 돌봄' 및 'AI콜' 서비스가 지난해 성과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서비스는 지난 2019년 서비스 개시 시점보다 15배 이상 늘어난 5만여명에게 제공 중이다.

음성스팸 차단 및 보이스피싱 전화연결 발신차단 서비스를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도 나섰다. 이동통신사 중 유일하게 경찰청 제공 범죄 번호를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전화연결 발신차단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해 범죄 시도 총 10만4990건을 차단해 고객 피해를 예방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 2018년 이후로 5년 동안 꾸준히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를 측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내업무 및 구성원 인식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조직 KPI 평가에 SV(사회적 가치) 측정 성과 반영 △투자 의사결정 시 ESG 요소 검토 프로세스 도입 △모바일 영수증 제공 △국내 이동통신사 최초 온라인 배당조회 도입을 통한 주주 소통 강화 및 친환경 경영 실천은 사회적 가치 측정을 통한 대표적인 업무 변화 사례로 꼽힌다.

박용주 SKT ESG담당은 "사회적 가치 측정을 통해 쌓아온 ESG 역량을 바탕으로 정부, 지자체, 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여 선한 영향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