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충격이 경제위기 키울 수 있어"···한경연, 올해 韓성장률 1.3% 전망
"금융시장 충격이 경제위기 키울 수 있어"···한경연, 올해 韓성장률 1.3% 전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수·수출 동반 부진, 中 리오프닝 효과 기대 못 미쳐
설비투자 역성장···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잦아들 듯
올해 국내 경제전망. (사진=한국경제연구원)
올해 국내 경제전망. (사진=한국경제연구원)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내수와 수출 동반 부진으로 1.3%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0일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3년 3/4분기'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가 올해 안에 경기 부진 흐름을 반전시키기는 힘들 것으로 분석하며 올해 경제성장률을 1.3%로 전망했다. 

대내적으로는 장기간 점진적으로 진행된 경제 여건의 부실화와 성장 모멘텀 약화, 대외적으로는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 지연이 가시화되면서 연말까지 경기 반등을 이뤄내기는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1% 성장에 그칠 전망이다. 기업실적부진으로 인한 명목임금상승률 정체, 고물가 등으로 인한 실질구매력 약화로 소비여건이 극도로 위축되면서 하방압력이 강화되고 있다. 금리급등에 따라 가중된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 등 구조적 원인 역시 민간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온 설비투자는 내수침체와 글로벌 경기위축에 따라 반도체 등 IT부문 외 투자가 모두 급감하면서 2.3% 역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건축부문의 공사차질과 부동산PF 부실 등 불안요인이 해소되지 못하며 0.7%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출 역시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미약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까지 일부 지연되고 있어 0.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대내 경기부진에 따른 수입감소폭이 수출감소폭을 뛰어 넘으면서 경상수지 흑자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수요압력 저하와 원자재가격 하락으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5.1%보다 1.8%p 낮아진 3.3%로 전망됐다. 다만 폭염과 장마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과 최근 급등한 국제유가로 인해 소비자물가의 하락세는 다소 완만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경기반등의 효자역할을 해왔던 수출도 중국과 주요국의 경기 반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연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중국의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가 올해 안에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 상황"이라며 "중국의 경기반등 무산으로 인한 영향이 미국 등 주요 교역국으로 파급된다면 성장률은 더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불황과 고금리 상황 지속에 따라 연체율 급등, 금융기관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기 시작했다"며 "불안감을 더해가고 있는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예기치 못한 금융시장 충격이 경제시스템 전체 위기로 확산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