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만성인력난 건설업계···근본적 해결 안 되는 이유는?
[초점] 만성인력난 건설업계···근본적 해결 안 되는 이유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사 10곳 중 9곳은 인력부족···'채용 매우어려웠다' 38%
현장 근로자 평균연령 53.1세로 청년에게 기술 승계 안돼
자체교육원 운영·급여인상·공장제조주택 등 건설사의 대안
(사진=pexels)
(사진=pexels)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건설 현장의 인력난은 업계의 오랜 숙제로 남아있다. 숙련 지식과 경험 인력 기반으로 운영되는 산업인만큼 신규 기술인력 유입 장벽이 높은 직군이기 때문이다. 

3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통계청 등의 종합건설사 대상 설문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건설현장에서 기술인력 채용이 어려웠다고 응답한 건설사는 94%('어려운 편이었다'(56%), '매우 어려웠다'(38%))로 나타났다. 향후 5~10년 뒤 건설현장에서 가장 부족해질 기술인력은 1위는 공사 수행 인력(35%)인력이며 이어 △공무(19%) △현장소장역(18%) △안전관리(16%) △품질관리(6%) △본사기술직(5%) 순이었다. 

건설 인력난은 부실시공과 공기연장을 발생시키는 중대 사항이다. 실제로 지난 16일 장철민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의원이 LH자료를 검토한 결과, 올해 1~7월 LH 감리 공사 현장 104곳 중 85곳(81.7%) 에서 법적 기준 감리 인력미달이 확인됐는데, 920명 중 566명만 배치해 논란을 발생시켰다. 이는 공사의 품질 점검과 현장안전을 수행하는 인력이 부족한 탓으로, 결국 부실시공을 사전 관리하는 데 실패한 요인으로 지목됐다. 

또 만성 인력난에 시달리는 건설사들이 중대재해법과 주 52시간 근무제까지 더해져 공기 연장 방법 등을 선택해 올해도 여러 시공사들이 입주지연과 공사비 증액 등으로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과 갈등을 빚었다. 

주요 인력난 사유로 서유경 건산연 연구위원은 현장 인력 고령화를 꼽았다. 그는 "청년과 신규 인력에게 기술이 승계되지 않는 데다가, 대형 건설사들도 모두 경력자 중심의 인력 채용을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건설근로자공제회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건설 현장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53.1세이며, 40대 이상이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35세 미만은 0.5%에 불과했다. 지난 20년간 31세~50세 건설 기술인력은 1/3수준인 37만6967명으로 감소했고, 같은 기간 51세~70세 인력은 2만7702명에서 28만1096명으로 10배 증가했다. 71세 이상 인력도 2245명에서 2만8637명으로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부족한 인력을 메우기 위해 채용하는 외국인 근로자도 부족한 상황이다. 건설업에서 근무하려면 'E-9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데, 불법 고용으로 정부의 3년 고용 제한에 걸린 건설사가 많아 해당 회사들은 E-9비자로 들어온 인력을 쓸 수 없었다. 불법 고용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인 인력난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공사기간은 한정돼 있는데 E-9 비자가 나오는 데 최소 4개월 이상이 걸린다"며 "정부가 건설업 외국인 인력 1만명 추가 쿼터를 마련했지만 대부분 건설사가 신청하지 못한 걸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건설사들은 현장 인력난 해소를 위해 자체적인 노력을 진행중에 있다. 

건산연 조사에서 건설현장 인력확보에 효과적인 방안 1위로 꼽힌 임금 인상(78%)도 인력 유입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1년새 직원의 평균 임금을 10%넘게 상승시킨 건설사는 SK에코플랜트(12.8%), 포스코이앤씨(12.6%), 대우건설(11.9%), 삼성물산(10.6%) 등이다.

현대건설은 1977년부터 자체 기술교육원을 운영해 건설 인력을 양성하고 취업 연계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 한 해 약 300여명을 교육해 지금까지 3만8000여 명의 건설인력을 배출했다. 교육 수료자는 당사 채용의 우대혜택을 받으며, 동종 건설사 국내외 현장 취업률은 작년 기준 85%를 기록했다.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 이앤씨 등은 정부의 공공임대주택을 모듈러공법으로 준공하며 현장 인력난을 해소하고 있다. 모듈러공법은 현장이 아닌 공장 제조업으로 노동력 부족을 메울 수 있는 대표적인 시공법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도 지난해 모듈러주택팀을 신설, 올해 GS건설도 자회사 '자이가이스트'를 통해 모듈러 주택사업 구상을 내놓았다.  대우건설 등은 근로자의 안전확보로 외국 인력을 늘리기 위해 통역 전담직원을 현장에 배치하고 있으며, 15개 외국어 번역 시스템 앱을 운용해 현장에서 활용 중이다. 

인력난 해결을 위해 정부도 지원에 나섰다. 불법고용 적발로 고용 제한 조치를 받는 건설사의 제한을 올해 하반기부터 전면 풀어준 것이다. 외국인 근로자 E-9비자 건설업 쿼터도 전년 대비 25% 증가한 3000명으로 늘렸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현재 등록기준 9만여 개에 가까운 건설사 수 대비 외국인 비자 쿼터 수는 여전히 턱없이 작은 수준이라, 더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