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발 불확실성, 주담대 상승세 등 '변수'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7회 연속 동결했다. 중동리스크가 완화되면서 국제유가 상승 등 인플레이션 경계감이 약화된 데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이 사실상 종료됐다는 인식에 추가 인상 필요성이 낮아진 결과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내년 경기 회복세가 불투명한 가운데 최근 급증한 가계빚 때문에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오히려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부담 역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목표치 이상으로 높은 수준의 물가상승률과 고금리 기조 속 불어난 가계부채는, 금통위가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스탠스를 취할 수밖에 이유다. 이같은 불확실성도 큰 만큼 향후 추가 인상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평가도 여전하다.
30일 한은 금통위가 통화정책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기존 연 3.5%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7회(2·4·5·7·8·10·11월) 연속 금리 동결이다.
이번 동결결정은 시장 전망과도 부합한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7일부터 22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100명 중 96명이 이달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나머지 4명 중 3명은 인하(2명 0.5%p↓, 1명 0.25%p↓)를, 1명은 0.5%포인트(p) 인상을 예상했다.
금투협 관계자는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로 통화정책 기조 전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한·미 물가상승률이 역전된 데다 국내 가계부채의 급등 등으로 금리동결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동결 결정의 배경은 지표 혼재로 인한 불확실성이다. 10월 물가상승률이 3.8%까지 상승했지만, 반대로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근원물가는 3.2%로 오히려 하락했기 때문이다.
특히 중동리스크가 일부 해소되면서 국제유가가 안정됐고, 인플레이션 경계감이 크게 약화된 상태다. 다만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치(2%)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는 점과, 고금리에도 가계부채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는 점은 인하 논의가 시기상조임을 시사한다. 미 연준 역시 현재의 고금리 수준을 장기간 유지할 것이란 관측도,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둔화 우려 역시 영향을 미쳤다. 이날 금통위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4%로 유지했지만,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로 지난 8월 전망치 대비 0.1%p 하향 조정했다.
전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역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9%로 지난 9월 전망 대비 0.1%p 하향조정한 바 있다. OECD는 고금리 등의 여파에 내년 상반기까지 세계경제 성장세가 제약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채무 원리금 상환 부담과 물가 상승이 소비 투자에 단기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진단했다.
이밖에 고금리 기조 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가계부채 등도 동결결정을 지지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 신용대출은 감소하고 있지만 주담대가 급증하고 있어, 한은의 매파적인 기조를 지지했다는 분석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한은은 물가안정과 가계부채 억제를 위한 고금리 장기화 방침을 시사하면서, 금리 인하 기대를 통제하고자 노력할 것"이라며 "실제 인하 시점은 내년 3분기로 예상한다. 디레버리징과 한·미 금리차 점진적 축소를 위해 인하 폭은 연준보다 적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