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주주환원' 가속···"배당 확대·자사주 소각"
4대 금융지주 '주주환원' 가속···"배당 확대·자사주 소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주주환원율 30%대로 '쑥'···KB 37.5%·신한 36.0%
하나·우리도 각각 32.7%·33.7%···전년比 4.5~7.5%p↑
"50%대 목표"···당국도 "금융사들 배당 관여 안 해"
국내은행들의 지난해 이자이익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사진=서울파이낸스DB)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향후 리스크가 커질 것을 대비한 선제적 충당금 적립·상생금융 비용 등으로 주요 금융지주들의 실적 희비가 엇갈린 가운데, 각 지주가 주주환원 정책 강화에는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금융 당국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춘 상태에서 이뤄지는 주주환원책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인 만큼 자사주 매입·소각과 배당 확대 등을 통해 이익을 주주에게 환원,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겠단 구상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신한금융·하나금융·우리금융지주는 올해 자사주 매입·소각 등에 나서기로 했다. 먼저 지난해 역대 최대 이익을 거두며 '리딩뱅크'를 탈환한 KB금융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이미 지급된 분기배당금 1530원을 포함한 총 3060원의 주당배당금을 결정했다. 전년과 비교해 약 4% 증가한 수준이다.

아울러 3200억원어치의 자사주를 사들여 소각하기로 했다. 지난해 7월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의한 데 이어 추가 단행한 것으로, 주주환원을 확대하고 주주가치를 제고하고자 하는 경영진의 의지를 표명한 것이란 게 KB금융 측 설명이다.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소각하면 발행주식 수가 줄어들고, 주당 가치는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 배당처럼 주주에게 이익을 돌려주는 효과로도 작용해 대표적인 주주환원 정책으로 분류된다.

신한금융과 하나금융, 우리금융 등 타 금융지주의 행보도 비슷하다. KB금융과 달리 실적이 뒷걸음질했음에도 배당 확대와 자사주 소각 계획을 줄줄이 내놓은 상태다. 자본 적정성을 확보하되, 각 사가 정한 일정 수준의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초과하는 건 적극적으로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신한금융의 경우 지난 8일 실적발표에 앞서 이사회를 열고 2023년 4분기 주당 배당금을 525원으로 결정했다. 이미 지급된 3분기까지 배당을 포함해 연간 총배당(2100원)은 전년(2065원)보다 1.7% 늘었다. 주주가치 제고 차원에서 올해 1분기 중 1500억원 자사주 소각도 의결했다.

(왼쪽부터) KB금융·신한금융·하나금융·우리금융그룹 사옥 전경 (사진=각 사)
(왼쪽부터) KB금융·신한금융·하나금융·우리금융그룹 사옥 전경 (사진=각 사)

2023년 기말 현금배당을 보통주 1주당 1600원으로 결의한 하나금융의 총 현금배당은 3400원이다. 하나금융은 주가의 저평가 해소, 주주가치의 지속적인 증대를 위해 3000억원의 자사주를 연내 매입·소각하기로 결정했다.

우리금융 역시 올해 안에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 935만7960주(지분율 1.24%)를 매입해 모두 소각한다는 계획이다. 결산 배당금은 보통주 1주당 640원으로 결정했다. 연간 배당금은 1000원이며 배당수익률은 7.1%다. 

2022년까지만 해도 20%대 중반~30%대 초반에 머물렀던 이들 금융지주의 주주환원율은 30%대 후반까지 올라선 상태다. 주주환원율은 자사주 매입, 주당배당금 등이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KB금융은 총주주환원율을 전년 33%에서 지난해 37.5%로 4.5%포인트(p) 끌어올렸다. 이번 자사주 매입·소각을 전년도로 소급해서 본다면 주주 환원율은 38.6%까지 오른다. 신한금융의 현금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한 지난해 총주주환원율(36.0%) 역시 전년보다 6.0%p 높아졌다.

지난해 초 실시한 1500억원의 자사주 매입·소각까지 고려하면 하나금융의 2023년 회계연도 총주주환원율은 32.7%, 우리금융의 경우 지난해 처음 실시한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한 총주주환원율은 33.7% 수준이다. 각각 전년 대비 5.3%p, 7.5%p 오른 수준이다.

4대 금융지주는 주주환원 확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면서 장기적으로 총주주환원율을 50%대까지 높여나갈 방침이다. 주주환원을 강화하는 방안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입장이다. 앞서 행동주의펀드 얼라인파트너스는 금융지주들에 당초 제시했던 주주환원정책의 이행을 요구하기도 했다.

당국 역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에 대비한 충당금 적립을 지속 요구하면서도, 손실흡수능력을 갖췄다면 주주환원 정책은 각 지주의 자율적 판단에 맡기겠다는 일관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금융회사의 주주환원정책과 관련해 "배당과 관련해 적절한 건전성과 다양한 제도를 충족한다는 전제하에 발생하는 초과 이익에 대해선 기본적으론 관여할 생각이 없다"며 "자사주를 지나치게 오래 가지고 있을 게 아니라 적절한 시점에 소각하는 게 맞다고 본다"고 언급한 바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건전성 강화라는 목표를 가지고 보수적인 관점에서 충분한 충당금을 쌓고 있다"며 "경제 불확실성의 해소 여부 등을 고려해 현금배당과 자사주 소각의 병행으로 총주주환원율 지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