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순위 청약 경쟁률 167대 1···1년새 3배↑
서울 1순위 청약 경쟁률 167대 1···1년새 3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42가구 공급에 10만7271명 몰려
경쟁률 '6.4대 1' 지방과 격차 심화
"공급 감소·서울 집값 상승세 영향"
래미안 원베일리의 모습. (사진=삼성물산 건설부문)
래미안 원베일리의 모습. (사진=삼성물산 건설부문)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분양시장에서 서울 아파트의 청약경쟁률이 작년보다 3배 이상 치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경쟁률이 떨어져 서울과 지방간 부동산 시장 양극화 양상이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26일 리얼투데이 등이 올해 상반기 일반분양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67.09대 1로 집계됐다. 총 642가구 공급에 10만7271명이 몰려든 결과로, 지난해 상반기 51.86대 1, 하반기 58.31대 1과 비교하면 경쟁률이 3배 이상 치열해진 것이다.

당첨 시 수십억원의 시세 차익이 예상돼 '로또 청약'으로 불린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 조합원 취소분과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의 분양이 경쟁률을 끌어올린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지난 2월 분양한 메이플자이는 분양가 상한제로 주변 시세 대비 수억원 이상 저렴한 가격에 공급돼 경쟁률이 442.32대 1에 달했다. 또 지난달 진행된 래미안 원베일리 조합원 취소분은 3만5076명이 몰린 끝에 '만점 통장' 보유자에게 돌아갔다. 올해 청약시장에서 만점 통장이 등장한 첫 사례였다.

이에 더해 서울의 아파트 분양 물량이 줄어든 것도 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졌다. 서울의 일반분양 물량은 지난해 상반기 1033가구, 하반기 3800가구였으나, 올해 상반기는 642가구에 불과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 △광진구 '강변역 센트럴 아이파크'(494.11대 1) △서대문구 '경희궁 유보라'(124.37대 1) △강동구 '더샵 둔촌포레'(93.06대 1) △강동구 '에스아이팰리스 올림픽공원'(10대 1) 등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분양한 9개 단지 중 6개 단지가 두 자릿수 이상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 비수도권 1순위 경쟁률은 6.39대 1로, 지난해 상반기(7.53대 1)는 물론 작년 하반기(9.12대 1)보다 낮아졌다. 서울과 지방의 청약 시장 온도차가 올해 들어 더욱 커진 셈이다. 이러한 지방 분양시장 침체에 전국 1순위 경쟁률도 지난해 하반기 12.28대 1에서 올해 상반기 7.01대 1로 하락했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서울 부동산 시장이 바닥을 다졌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청약 시장에 수요가 몰리는 것"이라며 "지방은 시장이 위축된 데다 분양가 상승 여파로 더욱 가라앉은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