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여.수신 금리↓..저축銀 금리 급등
은행 여.수신 금리↓..저축銀 금리 급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준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예금은행 대출금리가 9개월 만에 하락했다. 예금금리도 6개월 만에 하락하며 연 5%대로 낮아졌다.

하지만 그 파급이 비은행 부문에는 미치지 못하면서 저축은행의 금리는 급등세를 이어갔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 평균금리는 연 7.53%로 전월보다 0.26%포인트 하락했다.

대출 금리는 1월 7.25%에서 2월 6.90%로 떨어지고 나서 3월에 같은 수준을 유지하다 4월부터 계속 올랐다. 6월에는 7.02%로 7%대로 높아졌고 10월에는 7.79%로 7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0.29%포인트 급락했다. 대기업대출 금리가 0.32%포인트 떨어져 중소기업대출 금리(0.30%포인트)보다 하락폭이 컸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0.16%포인트 하락하는 등 가계대출 금리는 0.15%포인트 떨어졌다.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 평균금리는 11월 중 5.95%로 전월보다 0.36%포인트 하락했다. 저축성수신 금리가 떨어진 것은 지난 5월 이후로 처음이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는 0.34%포인트, 양도성예금증서(CD)와 금융채 등 시장형 금융상품 발행금리는 0.38%포인트 각각 떨어졌다.

한은 금융통계팀의 김경학 차장은 "기준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여.수신 금리가 모두 하락했다"며 "12월에 CD 금리 등이 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을 감안하면 금리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CD 금리는 11월 5.62%에서 12월 1~ 24일 중 4.84%로 0.76%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비은행 금융기관의 여.수신 금리는 상승세를 지속했다.

상호저축은행의 일반대출 금리는 11월 13.58%로 전월보다 0.44%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관련 대출 통계가 집계된 2003년 11월(12.67%)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7.77%로 0.27%포인트 오르면서 2001년 4월의 8.12% 이후 가장 높았다.

김 차장은 "은행권의 대출 위축으로 대출 수요가 저축은행으로 몰리면서 대출 금리가 오른 것으로 보인다"며 "예금 금리는 일부 저축은행들이 유동성 조달을 위해 8%대 고금리 상품을 내놓은 영향 등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또 저축은행은 대출 재원의 일부를 은행권에서 조달하기 때문에 은행권 금리 하락의 여파가 미치는 데 시차가 있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그밖에 신용협동조합과 상호금융의 일반대출은 8.70% 과 8.06%로 각각 0.06%포인트, 0.12%포인트 올랐다. 예금금리인 1년 만기 정기예탁금 금리도 신용협동조합은 6.53%로 0.09%포인트, 상호금융은 6.45%로 0.12%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