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조선 퇴출대상 없다?"...구조조정 '용두사미'
"건설· 조선 퇴출대상 없다?"...구조조정 '용두사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양우 기자]대주단 방식의 건설 및 조선사 구조조정이 소리만 요란한 빈수레가 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사와 중소형 조선회사에 대한 구조조정 검토 결과가 곧 나올 예정인데 퇴출 대상 기업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나돌던 소문과는 거리가 먼 결과다. 예정된 용두사미 구조조정. 그래서, 애당초 대주단 방식의 구조조정 추진이 문제의 발단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당국과 은행연합회가 만든 기준에 맞춰 72개사의 등급을 평가했고, 최근 금융권과 건설업계에 신용위험 평가표가 나돌고 있다.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과 퇴출대상인 D등급이 41개로 전체의 절반을 넘는다.

건설업계의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채권금융기관들이 실시한 92개 건설사의 신용위험평가결과는 이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건설사의 경우 퇴출대상인 D등급은 아예 없고 C등급도 10여 개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회사도 사정은 비슷하다. C등급이 두 세개에 불과하고, 퇴출대상인 D등급은 역시 없다.

왜 그럴까?

건설업계의 부실규모가 예상보다 크자 주채권 은행이 구조조정 대상 회사를 축소하려 한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기업을 퇴출시킬 경우 부실채권이 늘어 은행 건전성도 악화돼 채권 은행들이 거래기업에 대해 후하게 평가한데 원인이 있다는 분석이다. 결국, 은행장들이 자신의 임기를 별 탈 없이 보낼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일종의 복지부동이다. 

은행들이 이처럼 퇴출 건설사와 조선사를 쉽게 결정짓지 못하자 곤욕스러워 진 것은 금융당국이다. 구조조정을 대충하거나 시기를 놓칠 경우 우리경제가 입을 타격이 그만큼 클 것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이 좀더 엄격한 잣대로 평가 내용을 적용하라고 지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이같은 조치가 과연 얼마나 먹힐지는 미지수다.

한편, 주채권은행들은 16일 마무리한 신용위험 평가 결과를 가지고 다른 채권금융기관들과 협의를 통해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와 조선사를 선정한 뒤 오는 23일까지 금융당국에 통보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