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속도 붙나
우리금융 민영화 속도 붙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수지분 연내 매각 가능성
지주사법개정안 등 난제산적

[서울파이낸스 공인호 기자]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지분 매각 작업과 관련, 탄력적 대응 계획을 밝혀 연내 소수지분 매각이 성사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금융의 소수 지분매각은 우리금융 민영화의 사전 작업이라는 측면에서 국내 금융시장의 판도변화 시기를 가늠해 볼 수 있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과 예금보험공사는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우리금융 73% 지분 가운데 경영권 행사 지분 50%+1주를 제외한 23% 지분의 분할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지분매각 방법은 일정지분을 묶어 매각하는 '블록세일' 방식이 유력하며, 1차로 지난 2007년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통해 매각하기로 결정된 7% 가량이 우선 매각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예금보험공사는 금융위기로 인한 국내외 증시여건 악화를 이유로 우리금융의 소수지분 매각을 차일피일 미뤄왔다. 매수 주체를 찾기도 어려운 데다 팔더라도 제값을 받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실제 예보가 매각을 추진했던 2008년 초 우리금융의 주가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 가량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예보의 기대와 달리 우리금융 주가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줄곧 곤두박질 치며 지난해 초와 비교해 절반 수준까지 추락했다. 우리금융지주 지분매각과 관련해 실기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이와관련 금융당국은 더이상 우리금융 주가에 연연해 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금융위기가 언제 진정될 지 모르는 상황에 금융공기업 민영화 작업의 주축인 우리금융 민영화를 마냥 미룰 수만은 없다는 판단이다. 최근 국내 금융시장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우리금융 주가가 소폭 회복했다는 점도 지분매각의 동기로 작용했다.

최근 진동수  금융위원장도 은행권의 자체 자본확충 노력을 주문하며 "우리금융지주도 자체적인 자본확충이 가능해지도록 예보가 서둘러 민영화시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진 위원장은 이어 "2007년처럼 시장 상황이 좋았을 때 정부 지분을 미리 미리 매각할 필요가 있었다"며 "그런 점에서 관료들이나 예보가 잘못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예금보험공사 사장에 이승우 전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이 취임한 것도 우리금융의 지분매각 작업에 탄력을 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신임 사장은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 청와대 경제정책비서관 등을 지낸 정통 관료 출신으로, 모피아 출신의 2기 경제팀인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및 진동수 금융위원장과도 적절한 정책조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사장도 취임식을 통해 "공적자금 지원 금융회사의 양해각서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면서 출자금융회사 지분을 투명한 절차에 따라 매각할 것"이라며 우리금융 지분의 조기매각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우리금융의 23% 지분이 연내 매각되더라도 완전 민영화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금산분리 완화 추진이 갈수록 탄력을 잃고 있기 때문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서거도 여야 대치국면을 심화시켜 금산분리 완화를 위한 금융지주사법 개정안 통과에 대한 기대감을 희석시키고 있다. 산업자본의 은행소유 한도를 높힌 은행법 개정안은 통과됐지만 지주사 형태를 띄고 있는 우리금융지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국내 4대 시중은행인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이 금융지주사의 자회사라는 점을 감안하면 '반쪽짜리' 법안인 셈이다.

메리츠증권 박석현 연구원은 "금산분리 관련 법안 처리가 지연될 경우 금융주 주가에도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미 은행법이 통과됐기 때문에 은행지주회사에 대한 산업자본의 투자한도도 확대될 가능성은 있다"고 전망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