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비정규직 입장차 '팽팽'…장기화 조짐
현대차-비정규직 입장차 '팽팽'…장기화 조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자 협의, 점거부터 풀라" vs "3자 교섭결과 보고 검토"

[서울파이낸스 양종곤 기자]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비정규직 노조가 정규직화를 요구하며 벌이고 있는 공장점거파업과 관련, 원청업체인 현대차와 비정규직 노조의 점거파업 중단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번 사태가 장기화 국면든 것 아니냐는 우려섞인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28일 관렵업계에 따르면 양측간 입장차가 팽팽하다. 사 측은 "대화 전에 파업부터 풀라"는 입장인 반면, 비정규직 노조는 "대화 후 풀겠다"며 버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파업'둘러싼 이견으로 대화 자체가 쉰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강호돈 대표이사 부사장은 28일 오후 박수철 전무와 곽성수 이사 등과 함께 이경훈 현대차 정규직 노조위원장과 집행부 간부, 각 공장 노조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지난 13일간의 불법점거로 현재까지 1만5천900여대의 생산차질, 1천800억원 이상의 매출손실, 신차 효과 상실과 함께 사회, 정치적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며 "회사는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 노력에 적극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교섭'이라는 것은 사용 종속관계를 전제로 근로조건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므로,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서는 별도의 '협의' 명칭이 적합하다"며 "협의주체는 4자(회사, 현대차지부, 협력업체, 하청지회)로 구성되는 것이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당초 교섭대상이 될 수 있는 정규직 노조와 대화하겠다는 회사 입장에서 진일보한 것.

강 대표이사는 그러면서 "생산시설 점거를 볼모로 불법행위가 계속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정상적인 협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며 "협의를 위해서는 선 (점거파업) 농성 해제가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반면, 비정규직 노조의 입장은 대화 후 결과를 보고 점거파업 중단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공장 비정규직 노조의 이상수 지회장은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현대차와 불법파견 정규직화 교섭을 열기 위한 과정으로 특별교섭에 참여하겠다"며 "정규직화를 전제로 조합원들이 동의할 수 있는, 성과 있는 정규직화 안을 제시한다면 농성(파업) 중단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지회장은 "하지만 정규직화에 대한 어떤 언급도 없이 형식적인 대화 정도로 조합원과 국민들을 기만한다면 우리는 울산2공장을 비롯해 파업투쟁을 더욱 강화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현대차는 그동안 정규직화 교섭은 원천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안이고 교섭대상도 아닌 비정규직 노조와는 교섭도 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해왔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판결이 고법으로 파긴환송된 뒤 아직 최종 확정판결이 나지 않아 법적으로 계류중이기 때문이라는 게 사 측의 설명이다.

이처럼 노사가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이번 사태가 장기화 국면으로 진입한 것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