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시장 해법-1] 코넥스·프리보드 이대로 괜찮나?
[제3시장 해법-1] 코넥스·프리보드 이대로 괜찮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야심차게 내놓은 중소·벤처기업 전문 시장인 코넥스가 침체에 빠지면서 '제3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놓고 금융당국 및 증권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동시에 '기존의 제3시장' 프리보드는 예년 거래수준을 회복하는 모양새지만 여전히 거래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업계 일각에서는 두 시장을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어 어떤 형태로든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편집자주

금융위·금투협 "시장 성격 달라 합병 부적절"
프리보드 기업 "코넥스 상장 유지비 부담돼"

[서울파이낸스 윤동기자] 최근 코넥스시장 침체가 길어지면서 업계 안팎에서는 프리보드를 폐지하고 우량기업을 코넥스로 이동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증권업계는 '코넥스 기업과 프리보드 기업의 크기가 다르다'며 일단 난색을 표하고 있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김정주 국회입법조사처 금융외환팀 입법조사관(행정학 박사)는 '코넥스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김 입법조사관은 "코넥스 시장과 역할 중복 우려가 있는 프리보드시장과의 관계 재정립이 필요하다"며 "기존 프리보드시장의 우량기업을 코넥스로 이전 상장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사실 코넥스와 프리보드의 역할 중복 우려는 오래 전부터 제기돼왔다. 지난해 4월 금융위원회에서 코넥스 개설방안을 발표할 당시에도 기존의 제3시장인 프리보드는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의문이 계속 불거진 것.

당시 금융위 관계자가 "코넥스시장을 개설한 후 추이를 봐야겠지만 차츰 프리보드시장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갈 수도 있다"고 말해 논란을 키운 바도 있다.

또 코넥스 개설방안이 발표된 지난해 4월부터 약 4개월간 프리보드 신규지정법인 승인을 중단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최근에 이르러서는 당국과 업계, 시장 참가자 모두 코넥스와 프리보드 합병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이다.

먼저 코넥스는 요건이 완화되기는 했지만 '상장'이 필요한 장내시장이지만 프리보드는 장외시장이라 성격부터 다르다는 지적이다.

최준우 금융위 자본시장과장은 "코넥스와 프리보드는 완전히 성격이 다른 시장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시장 통합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며 "프리보드 시장에서 성장한 기업이 코넥스나 코스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투협 관계자는 "프리보드와 코넥스를 통합한다고 해도 언젠가는 다른 장외시장이 필요할 것"이라며 "프리보드가 가진 14년간의 노하우를 잘 살릴 수 있는 방향이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두 시장을 합병하기에는 기업 규모가 크게 차이난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지난해 말 기준 코넥스에 상장된 22개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278억원, 당기순이익은 14억원 수준. 같은 기간 프리보드 기업 50사의 평균 매출액은 246억원, 당기순이익 11억원으로 평균치는 유사한 수준이다.

하지만 프리보드의 경우 상위 10개사가 전체 매출액의 85%, 당기순이익의 57.2%를 차지하고 있어 이들을 제외한 하위 40개사의 성적은 평균 매출액은 40억원, 당기순이익은 5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프리보드기업협회장인 송승한 쏜다넷 대표는 "프리보드 기업 중 코넥스 상장유지비인 5000만~1억원을 내기 어려운 기업도 많다"며 "두 시장이 합병할 경우 대부분의 프리보드 기업이 상장요건을 채우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