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탄소중립, 고탄소산업 부가가치 73%↓·주가 53%↓"
한은 "탄소중립, 고탄소산업 부가가치 73%↓·주가 5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조사통계월보···'기후변화 이행리스크·금융안정'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 실물경제·금융시스템 충격↑
고탄소산업 부도율↑·은행 건전성↓···"충격 대비 필요"
공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2050 탄소중립' 등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 과정이 장기간에 걸쳐 우리나라 실물경제 및 금융시스템에 상당한 충격을 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감축 목표가 더욱 높은 시나리오에선 고탄소산업(부가가치 대비 직·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 상위 업종)의 부가가치 및 주가가 2050년에 최대 73%, 53% 가량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30일 '조사통계월보'에 실린 '기후변화 이행리스크와 금융안정' 논고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재윤 한은 금융안정국 금융안정연구팀 과장은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2050 탄소중립 등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행리스크는 장기 성장기조와 중앙은행의 주요 책무인 금융안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이에 한은은 '이행리스크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를 개발해 향후 30년에 걸친 기후변화 대응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시나리오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2.0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난해 대비 약 70% 감축하는 일명 '2도 시나리오'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해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억제하는 '1.5도 시나리오'로 구성된다. 이 때 기준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따른 충격 없이 현 수준을 유지한다는 전제다.

분석 결과, 고탄소산업의 부가가치는 탄소중립 이행리스크에 따라 연평균 0.95~2.44% 감소해 오는 2050년에는 기준시나리오 대비 28.5~73.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고탄소산업을 중심으로 생산비용 상승과 부가가치 감소가 확대되는 것이다.

개별 산업별로는 기존 탄소 집약적인 재화·기술의 대체 가능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전기공급업은 기존 화석연료 기반 기술이 재생에너지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이행리스크 충격에서 상당폭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석유화학 등 고탄소 제조업은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기술이 개발·상용화돼 있지 않아 이행리스크에 의해 장기간 동안 손실을 입을 수 있다.

금융시장에 미칠 여파도 적지 않다. 이행리스크에 따른 고탄소산업의 기업 생산비용 상승과 수익 감소는 이들 기업의 신용위험과 시장위험을 증대시킬 전망이다. 고탄소산업의 부도율은 연평균 0.34~0.63%p씩 상승해 오는 2050년에는 기준시나리오 대비 10.2~18.8%p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주가는 연평균 1.7~1.8%p씩 하락해 2050년 51.0~53.7%까지 내려앉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곧 은행의 건전성 약화로도 연결된다. 고탄소산업의 신용·시장위험 상승에 따른 관련 금융자산(대출·채권·주식)의 가치 하락은 2050년쯤 국내은행의 자기자본비율(BIS)을 2020년과 비교해 2.6~5.8%p 떨어뜨릴 전망이다. 특히 1.5도 시나리오에선 2040년 이후 은행이 보유한 고탄소산업 관련 금융자산의 가치하락이 본격화됨에 따라 국내은행 BIS 비율이 규제비율 수준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김 과장은 "이번 연구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기술이 개발·상용화되지 않을 경우 우리 경제와 금융시스템이 상당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면서 "은행들이 현재 수준의 기후변화 대응만 지속할 경우 이행리스크에 취약한 자산에서 부실이 발생하며 큰 폭의 손실을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민간의 친환경 부문 투자가 확대돼 온실가스 저감기술의 개발·상용화 속도가 빨라진다거나, 금융기관이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 및 ESG 투자 활성화를 통해 취약 자산 보유액을 줄여나갈 경우 부정적 영향은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