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롯데케미칼이 2030년 고부가 스페셜티·그린(Green) 사업의 비중을 전체 매출의 60% 비중으로 늘려 지속성장이 가능한 사업구조로 재편한다.
롯데케미칼은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김교현 롯데그룹 화학군 총괄부회장과 황진구 기초소재사업대표 겸 수소에너지사업단장, 이영준 첨단소재사업대표 겸 전지소재사업단장, 김연섭 ESG경영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롯데케미칼 2030 비전 & 성장전략' 발표 기자간담회를 19일 개최했다.
김 부회장은 "펜더믹 시대에 탄소중립 트렌드, 시장 내역학관계 변화 등으로 화학사들에게도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라며 "기존 사업의 역량을 동력으로 삼아 미래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친환경 가치를 실현하고,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글로벌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롯데케미칼의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을 알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날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재무적 목표로 '매출 50조원 달성', 비재무적 목표로 '탄소감축성장'을 내용으로 하는 '2030 비전'을 제시했다.
고부가 스페셜티와 그린 사업의 비중을 전체 매출의 60% 비중으로 늘려 지속성장이 가능한 사업구조로 재편하는 게 목표다.
롯데케미칼은 매출 50조원 달성을 위해 스페셜티 제품군 확대와 범용사업 제품의 고부가화, 바이오 소부장·친환경소재 등 신규 사업군 진출 등으로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 규모를 7조원에서 18조원 규모로 늘릴 계획이다.
그린 사업은 수소에너지 5조원, 전지소재 5조원, 리사이클·바이오플라스틱 2조원 등 매출 총 12조 원 규모로 성장시킨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롯데케미칼은 총 6조원을 투자해 2030년까지 청정수소 120만톤을 생산하고 이를 유통·활용할 예정이다. 향후 국내 수요 증가에 대비해 해외 청정 암모니아 도입도 추진한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 수소시장 규모가 국내 580만톤, 글로벌 98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연료전지와 암모니아 혼소발전 용으로 약 350만톤의 수요가 형성될 것으로 예측했다.
여기에 대응해 수소 120만톤 중 60만톤은 발전용, 45만톤은 연료전지·수소가스터빈용, 15만톤은 수송용으로 공급한다는 로드맵을 세웠다.
국내 수소 인프라 구축을 위해 롯데그룹 계열사, 국내외 전략적 파트너와도 적극적으로 협업하기로 했다. 연내 합작사를 설립해 충전소 사업과 발전 사업을 추진하고 롯데그룹 내 계열사의 모빌리티 기반을 활용하는 등 수소사업을 본격화 한다.
황진구 단장은 "롯데케미칼의 네트워크와 투자 여력, 풍부한 글로벌 프로젝트 경험 등 강점을 살려 생산설비 투자부터 운송·유통에 이르는 인프라 구축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대한민국 수소 산업 전 과정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롯데케미칼은 이날 배터리·친환경차 수요 확대에 발맙춰 배터리 사업력량과 대규모 투자를 단행해 글로벌 배터리 소재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선언했다.
2030년까지 총 4조원을 투자해 리튬이온 배터리(LiB) 4대 소재 솔루션 분야에서 4조원, 차세대 배터리 분야에서 1조원 등 연간 매출액 5조원을 달성하겠단 목표를 세웠다.
차세대 배터리 사업 확대도 추진한다. 에너지 밀도 향상과 안전성 요구가 강화됨에 따라 미래솔루션으로 각광받는 리튬메탈 음극재, 액체전극, ESS 배터리 등의 자체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유망업체 발굴과 지분투자를 통해 배터리 사업 다각화를 선제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롯데케미칼은 또 자원선순환 트렌드에 따라 누적 투자 1조원을 활용해 리사이클/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사업 규모를 100만톤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플라스틱 재활용 제품의 경우 2030년까지 단기적으로 전자, 자동차, 가전 등 고객사를 중심으로 PC, ABS, PP 등 기존 물리적 재활용을 통한 PCR 제품 판매를 44만 톤까지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재활용 페트(r-PET)등 화학적 재활용을 통해 41만톤, 열분해 기술 상용화를 통한 PE·PP 제품 15만톤 생산을 추진한다.
재활용이 어려운 포장재·소비재 시장의 규제 대응과 생분해소재의 수요 증가에 발맞춰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여수공장에서 생산하는 바이오페트(Bio-PET)의 판매량을 현재 1만4000톤에서 2030년까지 연산 7만톤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생분해 폴리에스터인 PBAT와 해양 생분해성 플라스틱 PHA 등 신규 바이오 플라스틱 사업도 검토하기로 했다.
기존 주력 사업인 범용 석화사업도 지역다변화와 제품경쟁력 확대 등을 통해 매출액을 2021년 11조원에서 2030년 20조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그린 프로미스(GREEN PROMISE) 2030'을 ESG 비전·전략으로 재정립했다. 이를 통해 넷제로, 순환과 공존의 사회적가치 창출, 그린이노베이션을 추진한다.
먼저, 넷제로 실천을 위해 에너지 효율개선과 온실가스수집활용(CCU) 적용을 확대하고, 수소·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5%를 저감(2019년 배출량 대비)하고 2050년에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RE100 가입을 추진한다.
순환과 공존의 사회적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2030년까지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 판매량을 100만톤 이상으로 확대하고, 제품의 원료부터 판매,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서 경제, 환경, 사회 분야에 미치는 영향과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ESG 역량과 체제 강화를 위해 인권 경영을 실천, 인적자본 강화, 디지털 ESG 경영관리, 투명하고 공정한 기업문화 정착, 주주가치 제고를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