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째 극심한 육체적, 정신적, 경제적 고통 호소

[서울파이낸스 (인천) 유원상 기자] 북한의 대남방송 피해 주민들이 21일 탄원서를 제출하고 대북 및 대남방송 동시 중단을 촉구했다.
박용철 인천 강화군수는 "탄원서 제출을 위해 방문한 주민들과 면담을 갖고, 대남방송으로 인한 생생한 피해 증언을 집중적으로 청취했다. 또 소음피해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연대 의지"를 밝혔다.
탄원서의 주요 내용은 대북·대남방송의 동시 중단이다. 또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을 개정해 주민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및 보상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것이다.
송해면 주민 이경선 씨는 "실질적인 피해 대책이 마련되기도 전에 먼저 죽을 것 같다"며 극심한 고통을 호소하고 답답한 마음을 전했다.
지난해 7월부터 북한은 쇠 긁는 소리, 곡소리, 귀신 소리 등 불쾌한 확성기 소음이 24시간 불규칙적으로 들리고 있다. 접경 지역인 강화군 북단 송해면에서는 소음 강도가 최대 81dB에 달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수준이다.
숙박업, 야영장업 등 관광·여가 산업은 큰 타격을 입었으며, 방문객 급감으로 지역 경제는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다. 또 부동산 거래가 사실상 중단되면서 부동산 가격 하락도 현실화되고 있다.
박 군수는 "주민들의 고통에 깊이 공감한다"며 "중앙정부에 대북방송 중단을 여러 차례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 피해 상황을 중앙정부에 적극 전달하고, 주민의 입장에서 함께 해결 방안을 찾겠다"고 했다.
군은 앞으로도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중앙정부와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