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존 1.9%에서 1.6%로 대폭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민간 소비와 건설투자 부진, 수출 증가율 둔화가 두드러지면서 내수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국내 정치 불확실성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수출 타격 우려도 경기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한은은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기 불안 요소로 작용하며, 수출의 중요한 축인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도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로 인해, 1.9%의 성장률 목표는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전망치를 1.6%로 낮추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박석길 JP모건 본부장은 "성장의 하방 리스크가 강하다"고 평가하며,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당연히 조정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은 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기존 1.9%에서 2%대로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원·달러 환율 상승과 국제 유가 상승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압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물가 상승 압력이 내수 경기 부진과 맞물려 경기 회복에 추가적인 어려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은 특히, 고환율과 고유가가 소비자물가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가 상승률은 기존 예상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전망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경기 부양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평가된다.
박석길 본부장은 "성장 하방 압력이 현실로 다가오면서 한은이 금리 인하로 경기 리스크에 대응할 것"이라며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은이 금리를 내리면 민간소비와 투자가 촉진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지만, 금리 인하로 인한 환율과 물가 상승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면서 한·미 금리 격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환율 불안과 외국인 자금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원달러 환율이 1430원대에서 안정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며 "금리 인하를 진행하더라도 환율과 물가 상승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우려를 완화하기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의 필요성도 언급하고 있다. 다만, 재정 건전성을 고려할 때 대규모 추경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전문가들은 "추경을 하더라도 선별적 지원을 통해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15조원 내외 규모의 추경이 적절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추경을 통해 신산업 투자와 취약계층 지원이 효과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추경을 15조~20조원 규모로 하면 성장률을 0.2%p 올리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언급하며, 과도한 추경이 미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고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하향 조정하고,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와 추경 편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가 경기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물가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추경은 선별적이고 효율적인 지출을 통해 경제 상황에 맞춰 적절히 진행돼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