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건설업 7개월 만에 '플러스'
2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건설업 7개월 만에 '플러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심리 위축···숙박·음식 생산 3년만에 최대 감소
서울의 한 아파트 건축 공사 현장. (사진=박소다 기자)
서울의 한 아파트 건축 공사 현장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지난달 생산·소비·투자가 '트리플' 상승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생산 지수는 111.7(2020년=100)로 전월보다 0.6% 늘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해 12월 1.8% 늘어난 뒤 1월 3.0% 줄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했다.

특히, 불황에 빠졌던 건설업 생산이 1.5% 늘며 7개월 만에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건축에서 2.2% 줄었지만 토목에서 13.1% 늘었다. 철도·도로공사 진척분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광공업 생산은 전자부품(9.1%) 등 제조업(0.8%)에서 늘며 전달보다 1.0% 늘었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3.9%) 등에서 줄었지만 도소매(6.5%), 금융·보험(2.3%) 등에서 늘며 전월보다 0.5% 증가했다.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3.0% 줄며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말 항공기 사고, 탄핵정국 등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 위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도 3.8%(불변지수) 감소하는 등 부진한 모습이다. 지난해 2월 이후 매달 줄고 있고 최근 4개월간은 감소폭도 커지고 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 지수는 전달보다 1.5% 증가했다. 승용차(13.5%) 등 내구재(13.2%) 판매가 늘어난 것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승용차 판매는 보조금 집행 영향으로 2020년 3월(48.6%)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내구재는 2009년 9월(14.0%) 이후 최대폭으로 늘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투자가 늘면서 전월과 견줘 18.7% 증가했다.

최근 산업활동 동향 지수는 매달 등락을 거듭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관련해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설 효과에 따른 조업일수가 영향을 미치다 보니 연말 연초 지수가 등락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p(포인트) 상승했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1p 상승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