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예시적 가이드라인'에 담을 경제지표 확정
G20 '예시적 가이드라인'에 담을 경제지표 확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통화제도 개혁 정식 의제화, 에너지 투명성 제고 공감대

[서울파이낸스 온라인뉴스팀] G20(주요 20개국)이 세계경제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안을 놓고 극적인 타협점을 도출했다.

G20은 19일(현지시각) 파리에서 연 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세계경제 불균형 해소를 위한 '예시적 가이드라인'(indicative guideline)에 공공부채, 재정적자, 민간 저축률 및 민간 부채 등의 지표를 넣되 무역수지, 순투자소득, 이전수지를 보조지표로 포함하는 '2단계 접근법'에 합의했다.

G20은 중국의 강력한 반발로 공동선언문에서 경상수지라는 단어를 뺀 대신 무역수지와 이전수지, 순투자소득으로 구성된 '대외불균형'을 평가지표에 넣는 선에서 막판 절충을 이뤄냈다.

아울러 중국의 반대로 실질실효환율(교역비중과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환율)과 외환보유고 등은 지표에 포함하지 않은 대신 코뮈니케(공동선언문)에 "다만 환율정책, 재정정책, 통화정책 등을 적절히 감안하도록 한다"고 적시했다.

환율 부분이 선언문에 포함된 것은 중국이 일정부분 '양보'를 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를 안은 미국 등 서방 선진국으로부터 세계경제 불균형의 장본인으로 지목된 중국이 한 발짝 뒤로 물러서면서 '세계경제의 재균형화'(global rebalancing) 문제는 이번 회의에서 진전을 이뤄냈다.

G20은 이번 회의에서 합의한 지표들을 담아 세계경제 불균형 해소를 위한 예시적 가이드라인을 오는 4월 워싱턴 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작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상수지'를 가이드라인에 넣는 데 강하게 거부하던 중국에 대해 경상수지라는 용어를 빼는 대신 무역수지, 순투자소득, 이전수지를 보조지표로 담는 중재안을 마련해 18일 저녁 제시했고, 중국은 이날 오전 중재안을 고심 끝에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G20은 이번 회의에서 예시적 가이드라인에 넣을 지표 설정에 합의한 것 외에도, 국제통화제도(IMS) 개혁논의를 올해 G20 주요의제로 다루기로 합의했다.

원유ㆍ곡물 등 국제 원자재가격의 안정 방안에 대해서는 상품시장 가격변동성의 근본원인과 소비자ㆍ생산자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유효한 조치를 마련키로 했다.

또 에너지 시장의 투명성 제고가 중요하다는데 뜻을 함께하고 에너지 데이터 개선, 생산-소비국간 대화 증진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G20은 국제에너지포럼(IEF) 등 관련 국제기구들에 석유 관련 국제에너지 데이터베이스인 JODI(Joint Oil Data Initiative) 개선방안을 4월까지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한편 오는 4월 워싱턴 G20 장관급 회의에서 식량안보와 상품파생시장 규제ㆍ감독 개선방안 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