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저소득층 고금리 신용대출 비중 높아"
현대硏 "저소득층 고금리 신용대출 비중 높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채선희기자] 최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비제도권과 신용대출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고금리 불법채권 추심 등에 따른 사회적 문제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일 현대경제연구소는 '취약계층 삶의 기반이 붕괴되고 있다'는 보고서를 통해, "저소득층은 비제도권 금융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담보대출보다 신용대출 비중이 높아 서민 가계의 자산 건전성 악화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채권추심업체의 실적악화로 인한 공격적 영업이 예상되면서 향후 서민가계의 추심부담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백홍기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소득 1분위 가구의 가계대출 중 79.8%가 기타 비제도권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 1분위 가구의 신용대출 비중은 26.7%로 다른 분위 가구에 비해 매우 높다"며 "대부업 거래자 수도 지난 2009년 130만명에서 지난해 247만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상위 10개 대부업체의 대출 연체액을 살펴보면 지난해 1월 4010억원에서 올해 1월 6098억원으로 1년 사이에 52.1%나 증가했다"며 "국내 채권추심회사들의 영업수익은 추심수수료율 하락 등으로 지난 3년간 정체 상태를 지속해 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그는 향후 과제로 "단기적으로는 생활지원 자금과 학자금 등 사회 안전망과 연관된 서민금융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고용 및 자산형성 연계 대출 확대 등 서민의 금융 자생력 확보 방안 마련해야 한다"며 "금융기관들은 저신용자의 신용평가 체계 정비 및 서민금융을 확대하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