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사태, '금융게이트'로 번지나
저축은행 사태, '금융게이트'로 번지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검찰, 권력형 비리로 수사확대
현 MB정부 실세 '얽히고 설켜'

[서울파이낸스 강현창기자] 영업정지 저축은행들에 대한 수사가 현 MB정부 실세들로 향하고 있다. 저축은행 '자기자본비율'에 국한됐던 금융당국의 조사도 권력형 비리가 속속 드러나면서 설득력을 잃고 있는 모습이다.

◆ 미래저축銀 유증 김승유 관여 조사
25일 검찰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은 금융감독원의 제2차 저축은행 영업정지 발표를 앞둔 지난해 8월 평소 친분이 있던 김승유 전 회장에게 유상증자 참여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시기 하나금융그룹 계열사인 하나캐피탈은 145억원을 투자해 미래저축은행 주식 290만 주를 사들였고, 미래저축은행은 이를 통해 자기자본비율(BIS)이 5.25%로 높아져 영업정지 위기에서 벗어났다.

검찰은 당시 하나캐피탈이 그림 5점과 김 회장 등의 주식 및 서울 압구정동 소재 아파트, 서초동 사옥 등을 담보로 잡은 것에 대해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부동산 담보를 후순위로 설정하는가 하면 가치산정이 불분명한 그림을 담보로 잡았다는 점에서 경영진의 배임혐의 적용여부를 검토하는 한편 김 전 회장 등 윗선의 압력여부로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검찰은 최근 김 회장 조사에서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의 주선으로 김 전 회장을 직접 만났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진술을 확보한 검찰은 23일 오전 서울 서초동 하나캐피탈 본사를 전격 압수수색 했으며, 김 전 회장이 미래저축은행에 대한 투자를 계열사에 지시한 단서를 찾는 데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투자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회계장부 등을 확보했으며,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김 전 회장을 소환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 부동산PF 부실→권력형 비리로 전환
이와관련 금융업계는 김 전 회장과 이명박 대통령, 천 회장이 고려대 61학번 모임인 '61회'를 중심으로 돈독한 인연을 이어왔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수사가 저축은행 대주주의 배임여부를 떠나 권력형 비리 사건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김 전 회장은 고려대 경영대 교우회장, 천 회장은 고려대 교우회 회장을 거치면서 이 대통령의 고려대 라인의 핵심 축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인연으로 김 전 회장은 한때 이번 정부의 금융위원장 후보로도 거론되기도 했으며, 천 회장은 지난 2007년 대선 당시 이 대통령 후보에게 대선자금 306억원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에 합수단은 저축은행 부실과는 별도로, 김 회장이 청와대 행정관 A씨의 부탁을 받고 A씨의 형이 운영하는 병원을 매입한 뒤 이를 다시 전 병원장에게 돌려주는 수법으로 100억원대의 부당이익을 취하는 것을 도왔다는 의혹과 관련해 조사를 벌이는 등 수사영역을 넓히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21일 의혹을 사고 있는 행정관 A씨를 대기발령하는 등 이번 사건에서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한편, 김승유 회장 측은 "김찬경 회장과 친하지 않은데다가 중간에 천신일 회장이 관련됐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라며 "미래저축은행 유상증자는 철저한 상업적 판단에 따라 이뤄진 것이며 의혹을 벗기 위해 검찰에서 출석 요청이 오면 성실하게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