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 '통합보험', 종합금융시대 '대표상품' 될까
손보 '통합보험', 종합금융시대 '대표상품' 될까
  • 김주형
  • 승인 2005.04.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 동부화재 '총력전'...타사들 아직은 미온적
생보사 비교 우위, 전체금융시장 변화 대응에도 적절.


변액보험이 생보사들의 주력상품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손보사들이 야심차게 내놓은 통합보험이 종합금융시대를 맞이해 금융시장 전체에 대비할수 있는 손보사들의 경쟁력있는 상품으로 자리잡을수 있을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가장 먼저 통합보험을 선보인 삼성화재를 비롯해 동부화재가 전체투자비중의 절반이상을 통합보험에 집중하면서 총력전에 나서고 있는 반면, 아직까지 타 손보사들은 통합보험에 대해 장밋빛 미래를 구상하기보다는 반신반의 하고 있는 실정이다.

24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손보사들이 판매를 시작한 통합보험의 경우 일부 몇몇사들을 제외하고는 통합보험상품에 대해 크게 매력을 느끼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보험은 새로운 상품을 창출하기 보다는 아직까지 판매방식 자체가 저인망 방식(그물을 던져서 모두 다 걸리게 포획하는 방법)의 초기적, 기초적인 영업형태를 띠고 있다.

통합보험상품 하나를 가입하게 되면 주의고객(자녀,배우자,주택,자동차등)을 이상품으로 끌어들일수 있게 된다.

통합보험이 출시되기 이전에는 하나의 상품을 가입할 경우 고객의 필요에 따라 다른상품을 가입하는 형태였지만 통합보험은 한 번 가입하는 것으로 종합적인 위험보장이 가능해 다른상품 가입을 자연적으로 컷트 시키는 기능을 지니게 된다는 것.

고객이 중복되는 보험에 가입한 경우 만기가 될 때까지 기다린 후 만기가 도래하면 통합보험으로 가입을 유도하는 것이 현재 영업방식이다.

하지만 상품을 여러가지 붙이기만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붙인 상품에 대해 시스템이나 각 제도가 뒷받침 돼야 하는 만큼 성공여부에 대한 판단은 아직 시기상조다.


■ 종합금융시대 도래 ‘대비상품’
국내에서 최초로 통합보험을 개발, 판매를 시작한 것은 삼성화재다. 하지만 일본에서 가장 먼저 초보험이라는 형태로 개발된 통합보험은 판매 당시 고전을 면치 못한 것이 사실이다. 국내에서도 통합보험이 나오기 까지 현행 규정에 위배되는 사안들이 많아 진통을 많이 겪었다.

하지만 손보업계는 각 금융권역간 영역이 허물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손보사들의 미래대안 상품으로 통합보험이 출시될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특히 통합보험상품이 만들어진 시기가 방카슈랑스에 이야기가 논의되는 시점과 일치한다는 점도 이러한 사실에 대한 무게를 더한다.

삼성화재의 경우 손보업계에서 1위를 굳히고자 하는 포부를 초반부터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합보험을 개발한 것은 단일 업종을 보고 상품을 만든것이라기 보다는 금융전체를 포괄하겠다는 내심이 있다는 것이 손보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이를 뒷받침할수 있는 것도 삼성그룹이 소유하고 있는 금융사중 보험권의 비중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합보험은 금융시장 전체를 아우르는 기반을 다지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

통합보험의 본질이 회사 시스템을 구축하고 통합관리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한번에 계약관리를 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 통합상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은행, 홈쇼핑, 설계사등, 판매채널간 이원화된 시스템을 통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합된 계약관리 시스템 구축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보험으로 새로운 경쟁력을 창출해야 하는 것이 종합금융시대를 맞이해 손보사들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부각된 것이다.


■ 전문설계사 조직 양성 ‘관건’
하지만 무엇보다도 통합보험을 활성화되는 성패는 전문설계사 조직의 양성이 중요하다. 현재 자동차보험의 출혈경쟁 심화, 일반보험, 특종보험에서 더 이상 활로를 뚫기가 어려워 장기보험으로 승부수를 띄워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보험권내에서도 생보사와의 경쟁에 돌파구가 되는 것은 통합상품으로 고객들을 관리하고 컨설팅을 잘 해줄 수 있는 설계사들의 능력에 달려있다.

현재 시장이 아무리 확보 돼 있다고 해도 뺏고 빼앗기는 상황이 심화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

가장 대표적인 예가 온라인 자동차 보험이다. 자동차 보험의 시장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고는 하나 성장을 염두에 두기 보다는 이미 가진 파이를 나눠먹는 경쟁구도이다.

다른 상품들도 다이렉트채널이나 방카슈랑스에 설계기반을 빼앗기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통합보험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앞으로 통합보험끼리 물고물리는 식으로 시장경쟁이 전개될 것이라 한다. 결국 전문화된 설계사 양성이 종합금융시대를 대비해 통합보험으로 활로를 개척해야할 손보사들의 경쟁력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 제도 개선 뒷받침 ‘절실’
통합보험의 설계사 양성이 중요하지만 또 다른 중요점은 제도의 개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통합보험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은 삼성,동부화재로 알려져 있다. 현대나 엘지등 다른 대형사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