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증시, 개미는 울고 기관·외국인만 웃는 이유?
韓증시, 개미는 울고 기관·외국인만 웃는 이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한수연기자]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서 '봉' 취급을 받는 것은 투자주체간 정보비대칭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정보력이 약한 개인들이 외국인이나 기관 투자자보다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 박진우 교수가 2005년 1월∼2011년 12월까지 6년간 횡령·배임으로 조회공시 요구를 받은 110개 기업의 전후 주가동향을 조사해 '횡령·배임 조회공시와 투자자간 정보비대칭'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정리해 최근 한국증권학회 3차 정기학술발표회에서 발표했다.

조사결과, 해당 기업들의 주가는 한국거래소의 조회공시 요구 시점보다 평균 7거래일전부터 떨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거래소가 조회공시를 요구했을 때는 이미 주가가 이전의 약 80%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라는 것이다.

개인과 기관·외국인이 정반대의 투자패턴을 보이고 있는데, 이같은 정보의 비대칭때문으로 보인다.

조회공시 요구전 20거래일부터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는 순매도를 시작해 10거래일 전후부터 순매도를 본격화했지만,개인 투자자는 지속적으로 순매수 패턴을 보여 피해 규모를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관과 외국인이 개인투자자보다 우월한 정보수집 능력을 바탕으로 조회공시 요구일 이전부터 주식을 매도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결국 투자자간에 정보비대칭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수치로 확인된 셈이다.

박 교수는 이같은 투자자간의 정보 비대칭은 정보분석 능력보다는 정보수집 능력의 격차에 따른 것으로 파악했다. 개인투자자에 비해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가 주식시장에 떠도는 횡령·배임에 대한 소문을 사전적으로 인지하고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능력에서 우월하다는 지적이다.

박 교수는 현행 공시제도가 정보 불균형 해소, 시장 효율성 증진, 투자자 보호라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며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