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硏·증권학회 "상장사 공격적 배당정책 필요"
자본硏·증권학회 "상장사 공격적 배당정책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가치 및 주가 극대화 위해 배당성향 높여야"
 
[서울파이낸스 윤동 김소윤기자] 기업 가치와 주가 극대화를 위해 현재보다 공격적인 배당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2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3층 불스홀에서 자본시장연구원과 한국증권학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한국 기업의 현금흐름과 배당정책' 심포지엄에서 관련 내용의 발표가 진행됐다.
 
이날 1주제 발표를 맡은 강소현 자본시장연구원 박사는 2000년대 IMF 이후 국내 기업의 배당성향과 수익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해외 기업과 비교해도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강 박사는 "국내 상장기업들은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배당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배당이 낮았던 것에 대해서는 그간 기업들도 여력이 없었다는 사실도 감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00년대 초반 5~6% 수준이던 매출 대비 영업이익 수치가 2011년 이후 4% 수준으로 낮아지는 등 기업들의 배당여력이 충분하지는 않았다는 것.
 
그러나 강 박사는 "투자자들의 성향이 점차 변화하고 있어 기업들은 배당성향에 대한 변화 요구에 직면할 것"이라며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2주제를 발표한 김성민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도 적극적인 배당성향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기업들도 배당성향을 높이려고 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한 수준"이라며 "향후 기업가치와 주가 극대화를 위한 배당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김 교수는 기업들의 배당 여력에 대해서는 앞서 발표한 강 박사와 일부 이견이 있었다. 김 교수는 "제조업 기준 상장사의 자본금 대비 배당가능금액 비율은 2000년 이후 계속적으로 늘었지만 배당은 오히려 줄었다"며 "기업들이 여력이 없어서 배당을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의견을 밝혔다.
 
향후 배당정책에 대해서는 기업가치 극대화 또는 주가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개선안을 내놓았다. 강 박사는 "기업이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펴기 위해서는 주주 의결권 행사를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일반투자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관 투자자들의 배당관련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전문 자문기관 도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두 발표자는 배당정책 개선을 위해 여러 제도가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박사는 △주주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가 필요 △배당관련 의결권 자문기관 활성화 △기관투자자들의 의결권 행사를 강화하도록 감독 강화가 필요하다고 꼽았다.
 
김교수는 △목표배당 정책 설정 △오너경영자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배당재투자계획 도입 고려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