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매출, 4개월 만에 소폭 증가…SSM '감소'
대형마트 매출, 4개월 만에 소폭 증가…SSM '감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금 연휴 및 월드컵 특수 영향

[서울파이낸스 남라다기자] 지난달 대형마트 매출이 지난 1월 이후 4개월 만에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기업형슈퍼마켓(SSM)의 매출은 여전히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6일 발표한 '5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형마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p 증가했다. 이는 지난 1월(18.6%) 이후 4개월 만이다.

대형마트에서 가장 큰 폭으로 매출이 증가한 상품은 가전·문화(13.4%p) 부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브라질 월드컵을 더 나은 환경에서 보기 위해 TV를 구매한 소비자가 늘어난 데다, 일부 가전 전문매장의 대형마트 입점도 한 몫 했다.

또 어린이날 등 주말이 낀 황금 연휴 기간이 나흘이었던 만큼 나들이나 캠핑 고객들의 식품 수요가 늘어나 해당 매출이 2.3%p 증가했다. 하지만 의류(-8.3%), 잡화(-6.6%), 스포츠(-1.3%), 가정생활(-1.1%) 부문 매출이 하락하면서 전체 매출을 끌어내렸다.

백화점 매출도 전년대비 0.8%p 올랐다. 상품별로는 가정용품·가전제품(9.6%)이 가장 많이 올랐고, 뒤 이어 해외유명브랜드(7.5%), 식품(4.6%) 매출이 증가했다. 다만 기온이 상승하면서 남성의류(-3.8%), 여성캐주얼(-2.5%), 아동스포츠(-2.3%)은 매출이 감소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여름철 냉방기기 수요와 월드컵 특수에 따른 TV 매출이 증가했다"며 "또 전년대비 시즌오픈 행사를 앞당겨 실시하면서 해외유명브랜드 매출도 많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반면, 기업형슈퍼마켓(SSM)은 실적이 부진했다. 지난달 SSM 매출은 아이스크림 등 신선제품의 판촉 행사를 강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전년에 비해 0.2%p 떨어졌다. 그나마 신선제품 프로모션 영향으로 해당 부문 매출이 3.8% 올라 생활잡화(-4.5%), 가공조리(-2.0%), 농수축산(-0.2%) 등의 매출 감소를 만회해 전체 매출 감소 폭을 좁혔다.

한편, 편의점은 전년 동월 대비 6.9% 상승했다. 황금 연휴로 인한 휴일 수 증가로 나들이 고객이 늘어나 음료 등 가공식품(10.9%), 생활용품(4.5%), 담배 등 기타(3.9%) 등 대부분 품목에서 매출이 증가했으나, 복권 및 상품권 판매 감소로 인해 잡화(-4.9%)만 판매가 부진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