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화장품 수출 52% 급증…중화권 '쑥' 일본 '뚝'
작년 화장품 수출 52% 급증…중화권 '쑥' 일본 '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中 수출비중 31.0% '최고'…홍콩, 미국 順

[서울파이낸스 김태희기자] 지난해 국내 화장품 수출이 전년보다 50% 이상 성장했다. 대부분 중국과 홍콩·대만 등의 중화권에서 급증했다. 반면 일본 수출량은 지난 2년간 절반 이하로 줄었다.

5일 관세청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화장품 수출액은 18억7350만 달러로 1년 사이 52.0% 급증했다.

국가별 수출 금액을 보면 중국이 전체 수출액의 31.0%에 달하는 5억8170만 달러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홍콩이 4억1080만 달러로 21.9%를 차지했으며 미국이 1억5410만 달러로 8.2%로 뒤를 이었다.

한해 사이 수출액이 거의 2배로 불어난 중국과 홍콩은 물론, 5위권에 이름을 올린 대만까지 포함하면 중화권이 지난해 한국 화장품 수출액의 59.6%를 차지했다. 지난해 대만의 화장품 수출액은 1억2520만 달러다.

업계는 중화권 현지에서의 한국 드라마 및 가요 등을 중심으로 한 한류 열풍에 힘입어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등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인기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서울 명동 일대 가두점과 백화점·면세점 화장품 매장을 중국인 관광객이 점령한 점을 고려하면 화장품 수출 시장으로서의 중화권의 중요성은 더 높아진다.

10위권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마이너스 성장(-4.2%)을 한 일본 수출금액은 1억447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수출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7%로, 2012년(17.4%)과 비교하면 무려 10% 포인트 가까이 크게 낮아졌다.

일본에서의 화장품 시장 자체가 둔화된 상태에서 시세이도 등의 자국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높기 때문이다. 또 엔화 약세와 반한 감정 탓에 한국 화장품의 경쟁력이 떨어졌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글로벌 리서치회사 유로모니터의 조사결과를 보면 2013년 일본에서 인기있는 화장품 브랜드 10개 가운데 9개는 DHC·비오레·SK-Ⅱ·시세이도 등 자국 브랜드였다.

업계 관계자는 "중화권은 일본보다는 한국에 좋은 인상을 갖고 있고 문화적으로 한국 제품에 우호적이어서 성장 가능성이 크다"며 "소득 수준이 점차 높아지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시장의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