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기준금리 0.25%p 인상…내년 3회 인상 전망
美 연준, 기준금리 0.25%p 인상…내년 3회 인상 전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년만에 만장일치 결정…옐런 "내년 금리인상 매우 완만"

[서울파이낸스 온라인속보팀] 미국 연방 기준금리가 1년 만에 0.25%p 인상됐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14일(현지시간)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한 올해 8번째이자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 의원 10명의 만장일치로 기금리를 0.50%∼0.75%로 인상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12월 0.25%의 금리 인상을 단행한 이래 1년 만의 인상 조치다.

연준은 회의 후 성명에서 "현실화하고 예상된 노동 시장 조건과 물가상승을 고려해 위원회는 목표금리를 올리기로 했다"며 "일자리 증가가 최근 몇 달간 견고했으며 실업률은 낮아졌다"며 금린 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옐런 의장도 기자회견에서 "고용 극대화와 물가안정이라는 연준의 양대 목표를 향해 미국의 경제가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이어 "금리 인상은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의 표시"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미국 경제는 경기부양책이 필요없다"면서 감세와 인프라투자를 골자로 한 '트럼프노믹스'의 경제성장 정책 방향에 각을 세웠다.

그는 향후 금리 인상 속도에 대해 "2017년 금리 인상 움직임은 매우 완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연준 위원들은 앞으로 금리가 얼마나 오르고 내릴 것인지 개인적인 생각을 담은 표인 '점도표'를 통해 내년 1년간 3차례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을 시사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에는 내년 2차례 금리인상을 전망한 바 있다.

미 연준의 금리인상은 최근 고용시장 개선과 물가상승 전망, 소비심리 개선, 기업인 출신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경제성장의 기대감 등이 반영된 예고된 결과다.

미 경제회복을 반영한 연준의 이날 조치는 '선진국 돈줄죄기'의 신호탄으로 풀이되며, 우리나라가 받는 금리 인상의 압박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이날 경제전망을 통해 실업률이 내년말 4.5% 수준으로 다소 하락하고 2018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또 올해 GDP 성장률이 9월 예상치를 다소 웃도는 1.9%에 이르고 내년에는 2.1%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번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선진국 돈줄죄기가 본격화할지 주목된다. 미국이 내년 3차례 금리 인상을 시사한 데 이어 유럽중앙은행(ECB)도 내년 4월부터 자산매입 규모를 기존 800억 유로에서 600억 유로로 축소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