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 가압식 멤브레인 수처리 시스템 환경신기술 검증 획득
효성, 가압식 멤브레인 수처리 시스템 환경신기술 검증 획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침지식 이어 가압식까지 인증···최적의 분리막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

[서울파이낸스 윤은식 기자] 효성은 최근 환경부로부터 가압식 중공사(中空絲)막(사람의 혈액을 걸러주는 인공신장 투석기 필터를 사용한 정수방식)을 적용한 멤브레인 수처리 시스템으로 '환경 신기술 인·검증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멤브레인(membrane)은 '막'을 뜻하는 것으로, 원하는 물질(깨끗한 물)만 통과시키고 그렇지 않은 물질은 걸러내는 여과막을 말한다.

멤브레인 수처리 시스템은 기공 사이즈 0.03마이크로미터(㎛, 머리카락 굵기의 2000분의 1)의 중공사 분리막을 이용해 물속의 탁질 오염물질과 대장균, 병원성 원생동물 등을 99.99% 이상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 기술이다.

효성은 지난 2013년 침지식 멤브레인 수처리 시스템에 이어 가압식 멤브레인 수처리 시스템까지 환경 신기술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정수처리, 산업용수, 하수 재이용 등 다양한 수질과 현장 특성에 적합한 최적의 분리막 솔루션을 공급할 수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게 됐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효성의 기술은 '응집제 자동제어 및 배출 수 순환 플러싱에 의한 가압식 막여과 정수처리 기술'로서 국내 최고 수준의 80LMH(시간당 막을 통과하는 처리수의 양) 고유량 운전이 가능하다. 운전 유량이 높을수록 같은 시간 동안 정수 여과량이 많아 효율이 높다.

특히 효성은 막 여과의 전처리 단계인 응집공정(걸러내야 할 찌꺼기를 뭉치게 만들어 막 여과 시 잘 걸러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의 응집제 주입량을 막의 오염이 최소화되도록 자동제어해 운전 안정성을 향상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회수율(원수에서 깨끗한 물을 얻어내는 정도)이 95% 내외인 경쟁사들의 공정을 30% 이상 개선, 회수율을 97%까지 높인 것도 신기술로 인정받았다.

효성은 막 여과 시에 버려지는 배출수를 다시 활용해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분리막을 씻는 데 재이용함으로써 막 여과 공정에서 버려지는 물의 양을 줄이고, 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시설 비용을 줄이는 등 경제성을 높였다.

효성은 이번 인증으로 향후 멤브레인 적용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해수 담수화, 하·폐수 재이용 등 산업용수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또 이번 인증으로 얻게 된 입찰 자격 및 가점을 적극 활용해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에서 발주하는 노후 정수장 개량 공사 사업 수주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한편, 세계 수처리용 분리막 시장규모는 연 7조3000억원 규모에 달하며 지속적해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 중에서 중공사막 시장규모도 2016년 기준 2조5000억원으로 연평균 10% 이상씩 성장하고 있다.

허영우 효성 물 사업 담당 상무는 "최근 미국과 일본을 비롯해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시장에서 멤브레인 수처리 기술 도입이 늘어나고 있다"며 "특히 높은 경제성장율을 보이는 신흥 아시아 국가에서 사회 인프라 차원 수처리 시설을 크게 늘리면서 수처리 시장도 큰 폭의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효성은 그동안 국내외에서 쌓아온 기술력과 수주 레퍼런스,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