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 SKT AI 리서치센터장 "최고의 자산은 방대한 데이터"
김윤 SKT AI 리서치센터장 "최고의 자산은 방대한 데이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윤 SK텔레콤 인공지능(AI) 리서치센터장이 4일 서울 중구 을지로 SK텔레콤 기자실에서 열린 'New ICT 포럼'에서 향후 SK텔레콤이 선보일 AI 미래상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호정 기자)

SKT가 지향하는 4가지 인공지능(人工知能) 개념 제시

[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김윤 SK텔레콤 AI 리서치센터장이 인공지능 연구·개발(R&D)에 있어 SK텔레콤의 최대 강점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꼽았다.

김 센터장은 4일 서울 을지로 삼화타워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에 있어 비유하자면 몸에 맑은 피를 공급하는 게 데이터"라며 "SK텔레콤에 모이는 데이터는 국내 최고 수준으로 네트워크, 위치, 성향 데이터 등 포털이 갖고 있지 않은 데이터가 많다"고 평했다.

이어 "이 자산으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SK텔레콤이 추구하는 사업에 어떤 도움이 될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센터장은 애플 음성인식 개발 팀장과 홈팟(Home Pod)의 시리(Siri) 개발 총괄을 역임한 머신러닝 전문가로 지난 2월 SK텔레콤 초대 AI리서치센터장으로 부임했다.

그는 SK텔레콤의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연구 조직을 센터 내에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실생활에 맞는 사용자 환경을 구현하는 조직(tech prototyping)도 꾸릴 예정이다.

김 센터장은 "세상을 바꿀 수 있는 AI 기술을 만들고 싶다"며 "지금은 성과보다는 어떤 씨앗을 심느냐가 중요하다. 대한민국의 상황에 맞는 AI 기술에 선택적으로 집중해서 전략 투자해야만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센터장은 SK텔레콤의 AI 연구개발 방향을 '인공지능(人工知能)' 네 글자로 설명했다.

우선 인(人)은 무엇보다 인간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며, 사람과 기계가 함께 진화해야 하는 것으로 세계적인 AI 선도기업으로 자리를 잡기 위해선 이를 구현할 글로벌 최고수준의 인재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공(工)은 기초기술이 사용자의 실생활에 다가가는 것으로 AI 발전을 위해선 대규모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갖춰야 하며, 또한 신속하고 끊임없는 기술 고도화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지(知)는 SK텔레콤이 가진 고유 경쟁력을 고려해 미래 핵심 성장 분야에서의 AI R&D 역량을 더욱 전략적으로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차세대 AI는 별도의 지도학습 없이도 성능이 향상되고, 오류를 범한 경우에 원인을 파악해내며 결국에는 인간이 가르치지 않아도 무엇을 배워야 할지 스스로 찾아 배우는 학습 기법들의 선점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능(能)은 다가오는 5G에 최적화된 스마트 네트워크와 콘텐츠 개발은 물론 고객들이 직접 보고, 그리고, 듣고, 말하고, 읽고, 쓰고 느끼는 모든 것들이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수준까지 도달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김 센터장은 "인공지능은 복잡한 원본 데이터(Raw Data)로부터 기존에 쉽게 확보하기 어려웠던 지식과 인사이트(통찰력)를 얻어내는 한편 인간이 실생활에서 잘 쓸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