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후보자 "가계부채 연착륙 필요"···추가 금리 인상 시사
이창용 후보자 "가계부채 연착륙 필요"···추가 금리 인상 시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일 한은 총재 후보자 인사청문회 모두발언 통해 밝혀
"대외 여건 불확실성↑···물가 상방·경기 하방 위험 상존"
"가계부채, 우리 경제의 잠재적 리스크···금리 신호 필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 (사진= 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 (사진= 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가 금융불균형에 대한 우려를 다시 한 번 내비쳤다. 추가적인 금리 인상 신호를 통해 높아진 가계부채가 적정선을 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는 취지다. 또한 물가와 관련해서는 당분간 높은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으며, 정부와는 적극 소통하고 조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은 총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우리 경제의 심각한 잠재리스크인 가계부채를 연착륙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최근 증가세가 일부 둔화됐다고 하지만, 그 수준이 높아 금융안정은 물론 성장에도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금리 시그널을 통해 증가세를 계속 완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이후 과다한 유동성으로 빚어진 가계부채 누증 상황을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통해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다. 이 후보자는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라는 한국은행 본연의 책무를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면서 "성장 모멘텀이 훼손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도 물가안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한 속도로 조정하고, 이를 통해 가계부채 연착륙 등 금융안정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후보자는 점증하는 대내외 불확실성에 높아진 물가 오름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파장이 어느 정도까지 확대될 지 가늠하기 어렵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몇 차례의 '빅스텝(0.5%p 금리인상)'에 나서는 등 통화정책을 빠른 속도로 정상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에선 최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하며 경기 둔화 우려도 커지고 있다"면서 "이에 4% 넘게 상승한 소비자물가는 앞으로도 원유, 곡물 등 원자재가격 상승 영향으로 상당 기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경기는 코로나 위기에서 회복 흐름을 이어가겠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성장세는 기존 전망보다는 약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 위기에 집중했던 우리 경제의 역량을 신성장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청년 실업과 노인 빈곤, 소득불평등과 양극화 그리고 고령화와 같은 구조적 문제가 성장 잠재력을 훼손하고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켜 '장기 저성장'을 초래할 우려가 커졌다"며 "포스트 코로나 이후 도래할 뉴노멀에 대비해 적절한 출구전략을 시행하고, 위기 극복에 투입한 자원을 신성장 산업으로 돌려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의 관계도 '3C'를 통해 적절히 유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정부와는 건강한 긴장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경제정책 전반을 '종합적(comprehensive)'으로 살펴보고 서로 '조화(consistent)'를 이룰 수 있도록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소통하고 '조율(coordinated)'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한은을 우리 경제의 최고 싱크탱크로 발전시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민간 부문의 의사 결정에도 도움이 되게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도 기민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한국은행 총재로서 지금 우리 앞에 놓인 난관을 슬기롭게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통찰력과 결단력을 지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총재로서 일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대학에서 축적해 온 전문지식과 연구 성과 그리고 정부와 국제기구에서 근무하면서 쌓아온 실무 경험과 인적 네트워크를 토대로 우리 경제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