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호성 기자] 채권 시장 수급 안정화를 위해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재가동 이외에 한국은행의 기업유동성지원기구(SPV)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단기자금시장 유동성 개선을 위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일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발행시장 수요 위축으로 회사채 발행이 급감하고 있는 등 크레딧채권시장의 수급이 날로 악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부동산 경기 냉각으로 부동산 금융시장이 경색되고 있는 상황에서 강원도의 프로젝트파이낸싱 자산유동화기업어음(PF ABCP)에 대한 보증의무 불이행이 찬물을 끼얹으면서 단기자금시장의 유동성이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 일부 중소 건설사들의 부도위기 루머마저 나도는 분위기다.
김 연구원은 “언론 보도에 따르면 PF ABCP시장은 사실상 작동을 멈춘 상태로 금리를 높여도 마땅한 투자자를 구하기 힘들어진 상태”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매입약정이나 매입확약 등 신용보강을 제공한 증권사는 자체 자금으로 PF ABCP를 인수하며 급한 불을 끄고 있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잔액 기준 증권사가 신용보강한 PF 유동화증권은 46조원에 달하고 있고, 건설사가 신용보강한 PF유동화증권은 15조4000억원에 달해 전체 발행잔액이 61조4000억원에 달한다.
김 연구원은 “시장의 PF ABCP 기피 현상은 옥석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하게 확산하고 있어 금융당국의 대책이 나오지 않고 시장 기능에만 맡기면 단기자금시장의 경색이 해소되기 어려워보인다”고 지적했다.
연말이 다가오고 있어 정상적인 환경하에서도 단기자금시장이 타이트해지는 경향이 있는 시기인 점도 부담이다.
그는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산업은행·기업은행 등이 운영 중인 회사채·단기채권(CP) 지원 프로그램 매입여력 확대 외에 20조원 규모의 채안펀드 재가동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대응차원에서 가동했던 채안펀드는 캐피탈 콜 방식으로 3조원 가량을 우선 모집했다. 그러나 당시 채안펀드 가동후 얼마 되지 않아 증시의 V자 반등 및 채권시장이 빠르게 안정화되면서 현재 1조6000억원이 남아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채안펀드 재가동 후 남아 있는 자금은 회사채·CP 매입에 우선 투입하고 은행·증권사 등이 재약정을 통해 부족자금을 추가 출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채안펀드 재가동을 통한 유동성 공급으로 시장 기능 회복을 기대해 볼 수 있다”면서도 “시장 기능의 완전한 회복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처럼 보는 이유는 긴축 기조가 지속되며 금리가 급등하는 상황에 은행들마저 채권발행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 때문이다. 이로 인해 캐피탈 콜에 응해야 할 금융사들의 자금 사정이 넉넉한 상태가 아닐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관련 김 연구원은 “기존 시장 참여 기관의 캐피탈 콜 방식 채안펀드 자금 조성은 자금이 이쪽 주머니에서 저쪽 주머니로 옮겨졌을 뿐 단기자금시장 등에 대한 신규 자금 공급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그는 “채안펀드 외 2020년 코로나19 대응 차원에서 시행됐던 한국은행의 무제한 환매조건부증권(RP) 매입 및 비은행금융기관 대출, 증권금융 유동성 공급 등의 대책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SPV의 재가동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또 “현재 단기자금시장 경색의 원인은 표면적으로 강원도 보증채무 불이행 이후 부동산 PF 관련 채권 기피현상에 따른 유동성 고갈이지만, 근본적으로 부동산 경기냉각에 따른 부동산 PF 신용위험 증가에 내재해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연구원은 PF ABCP 시장신뢰회복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김 연구원은 부동산PF 관련 잠재부실을 파악해 충당금 적립과 필요시 증자 등을 유도할 필요성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