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신용보고서②] 韓 기준금리 인상효과, 주요국보다 상회
[통화신용보고서②] 韓 기준금리 인상효과, 주요국보다 상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잔액기준 파급률 60.3~80.7%···주요국 종류별 편차 커
최근 여수신 금리 하락세···"과거에도 나타난 현상"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대출 관련 광고물. (사진=한국은행)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대출 관련 광고물. (사진=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여수신금리 파급효과가 주요국 대비 원활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최근 완만한 하락흐름을 보이고 있는 여수신금리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앞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2021년 8월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 올해 1월까지 1년 반 동안 기준금리를 0.5%에서 3.5%로 3%포인트(p)나 끌어올렸다. 이 과정에서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총 10회 인상했으며, 사상 최초의 '빅스텝(0.5%p 금리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문제는 지난 2월부터 4·5월까지 3회 연속 금리를 동결하면서, 시장 내에선 사실상 금리인상 사이클이 끝났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들어 여수신 금리는 지속 하락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통화정책 효과가 저하됐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실제 기준금리 인상사이클 전인 2021년 7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여신금리는 2.77%에서 5.56%로 2.79%p 상승했으며, 수신금리는 0.97%에서 4.22%로 3.25%p나 급등했다.

그러나 올해 4월 기준 여신금리는 5.01%, 수신금리는 3.43%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각각 0.55%p, 0.79%p씩 하락하는 등 3연속 금리동결에도 여수신금리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이에 한은이 이번 금리인상기 주요국의 정책금리 인상에 대한 여수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 파급률을 집계한 결과 평균 72~91%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보면 대체로 단기시장금리가 정책금리에 비해 크게 상승한 캐나다, 덴마크, 스웨덴 등의 파급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우리나라의 신규 여수신금리 파급률도 71.8~91.3%로 주요국 평균 수준에 부합했다.

한은 관계자는 "주요국 대부분이 최초 금리인상 3개월 이내에 파급률이 100%를 상회하며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완만하게 하락했다"며 "특히 미국의 경우 금리인상 초기 연준의 긴축기조 강화 기대로 장기금리가 크게 상승하면서 가계대출 금리 파급률(누적)이 700%를 상회했다"고 진단했다.

주목할 점은 잔액 기준으로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는 것이다. 주요국의 정책금리 인상은 여수신금리에 평균 21~69% 파급됐다. 특히 여수신 종류별 평균 파급률은 가계대출 37.2%, 기업대출 68.7%, 저축성수신 20.5%로 종류별 편차가 매우 컸다.

반면 우리나라의 잔액 기준 여수신금리 파급률은 가계대출 75.7%, 기업대출 80.7%, 저축성수신파급률은 60.3%로 주요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이는 높은 변동금리대출 비중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한 주요국 신규 여수신금리 파급률 흐름을 집계한 결과, 정책금리 인상 초기에 추가 인상 기대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높아졌다가 금리인상기 후반으로 갈수록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우리나라의 여수신 금리차는 신규취급액 기준으로는 축소됐지만, 잔액 기준으로는 확대되는 일반적인 변동 패턴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여수신금리차 축소폭은 신규 기준 -0.26%p로 유사한 패턴을 보인 독일·프랑스의 평균(-0.48%p)보다 작았으며, 잔액기준 확대폭도 0.54%p로 주요국 평균(0.73%p)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여수신금리 파급률은 신규취급액 기준으로는 주요국 평균 수준이지만, 잔액 기준으로는 주요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며 "최근 여수신금리 하락으로 신규취급액 기준 파급률이 낮아지고 있지만, 이는 과거 정책금리 인상기 후반에도 나타난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금리인상기 종료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여수신금리 파급률은 더 축소될 가능성이 있는 반면, 신용리스크가 부각되며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할 경우 파급률이 재차 확대될 소지가 있다"며 "향후 여수신금리의 흐름과 리스크 요인의 변화, 차주의 이자부담 등을 주의깊게 점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