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뛰어든 XR 시장···삼성·LG 新 라이벌 구도 형성될까?
빅테크 뛰어든 XR 시장···삼성·LG 新 라이벌 구도 형성될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애플 비전 프로 흥행에 빅테크 기업 XR 시장 공략 가속화
LG, 메타와 'XR 동맹' 구축···디바이스·콘텐츠·서비스 등 협력
삼성, XR 헤드셋 디스플레이 공개···구글·퀄컴, SW·AP 지원
G전자가 28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글로벌 빅테크 메타(Meta)를 만나 XR(확장현실) 사업의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전략적 논의를 가졌다. (왼쪽부터) 이날 회의에 참석한 조주완 LG전자 CEO,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권봉석 (주)LG COO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전자)
G전자가 28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글로벌 빅테크 메타(Meta)를 만나 XR(확장현실) 사업의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전략적 논의를 가졌다. (왼쪽부터) 이날 회의에 참석한 조주완 LG전자 CEO,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권봉석 (주)LG COO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침체기에 있던 XR(확장현실) 시장이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참가로 판이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국내 양대 가전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빅테크 기업과 손잡고 글로벌 무대에서 새로운 라이벌 구도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8일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를 방문해 권봉석 ㈜LG COO 부회장, 조주완 LG전자 CEO 사장와 만났다. 이날 회의에서는 양측 차세대 XR 기기 개발과 관련된 사업 전략부터 구체적 사안에 대한 논의를 했다. 

메타는 이미 2014년 VR 기기 자회사 오큘러스를 인수해 현재까지 메타 퀘스트 시리즈를 출시하고 있다. LG전자와는 프리미엄 XR헤드셋 개발과 함께 플랫폼과 콘텐츠·서비스 등 생태계 전반에서 협력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TV·생활가전 시장에서 LG전자의 영향력과 서비스, 디바이스 개발 역량 등을 고려해 메타와 LG전자의 동맹이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LG전자뿐 아니라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부품기업이 다수 있어 디바이스 고도화에도 참여할 수 있다. 또 최근 콘텐츠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LG유플러스도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이날 권 부회장이 참석한 것 역시 메타와 다른 LG 계열사들간 협력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메타와 LG전자의 협업으로 글로벌 XR 시장은 3개 빅테크 기업이 진영을 나눠 경쟁하는 형국이 됐다. 애플이 XR 헤드셋 비전 프로로 시장에 가장 먼저 출사표를 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갤럭시 언팩 당시 구글, 퀄컴과 'XR 동맹'을 구축하고 XR 헤드셋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달 초 미국에서 출시한 비전 프로는 3499달러(약 466만원)의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전자업계 예상 판매량의 3배인 18만대 가량 판매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환불 문의가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지만, 이미 예상 판매량을 뛰어넘은 만큼 애플은 2세대 비전 프로 출시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글로벌 출시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만큼 해외 시장 반응은 지켜볼 필요가 있다. 외신에 따르면 비전 프로는 중국을 시작으로 올 하반기까지 전세계 주요 국가에 출시될 예정이다. 

애플 비전 프로. (사진=애플)
애플 비전 프로. (사진=애플)

삼성전자와 'XR 동맹'을 구축한 퀄컴은 올해 1월 스냅드래곤XR2+ 2세대를 공개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이 부품이 삼성전자 XR 헤드셋에 탑재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디바이스 출시 시기에 따라 새로운 부품이 탑재될 수도 있다. 삼성전자의 XR 헤드셋은 현재 출시 시기가 정해지지 않았다. 

이와 함께 구글은 XR 헤드셋 전용 안드로이드 UI를 개발하고 있다. 앞서 구글은 지난해 말 XR헤드셋 전용 안드로이드 UI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개발 일정상 다소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 

구글이 UI를 책임지게 되면서 삼성전자 XR 헤드셋은 비전 프로보다 더 풍부한 확장성을 갖게 됐다. 비전 프로는 출시 직후부터 유튜브, 넷플릭스, 스포티파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앱을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안드로이드가 갖는 소프트웨어 생태계 영향력과 유튜브의 모기업이 구글인 점을 고려하면 삼성 XR 헤드셋은 더 풍부한 확장성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메타와 LG전자가 내놓을 XR 디바이스에도 해당될 전망이다. 

이 밖에 삼성전자는 XR헤드셋을 위한 초고해상도 OLEDoS 디스플레이를 공개했다. GSM아레나에 따르면 이 디스플레이는 3500ppi의 픽셀수를 가지고 있고 크기는 1.03인치, 해상도는 2550×2550이다. 비전 프로의 경우 내부 디스플레이는 소니와 LG디스플레이가 공급하며 1.41인치에 3660×3200 해상도이며 픽셀수는 3386ppi다. 

한편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XR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는 올 하반기나 내년 초부터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 갤럭시 링을 공개한데 이어 하반기 폴더블폰 언팩과 함께 XR 헤드셋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연구원은 XR 시장이 2021년 189억6000만달러에서 연 평균 39.7%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6년 1007억7000만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