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12조 SOC 예산' 집행 앞둔 정부, '공사비 현실화' 고심
'상반기 12조 SOC 예산' 집행 앞둔 정부, '공사비 현실화' 고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가 상승 반영못한 낮은 공사비로 SOC사업 잇딴 유찰
"시장 상황 모니터링하며 정부 역할 규모 논의하는 중"
수요 진작책 요구엔 '신중' 입장···"이미 세제 일부 완화 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오른쪽 두번째)이 8일 오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건설경기 회복 및 PF 연착륙 지원 간담회에서 안건 제안 발표를 들으며 생각에 잠겨 있다. (사진=연합)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오른쪽 두번째)이 8일 오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건설경기 회복 및 PF 연착륙 지원 간담회에서 안건 제안 발표를 들으며 생각에 잠겨 있다. (사진=연합)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정부가 침체된 건설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올해 편성한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의 65%(12조4000억원)의 상반기 집행을 앞두고 공공공사의 공사비 현실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원자잿값 인상과 물가 상승분 등을 반영못한 낮은 공사비 책정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SOC 사업 유찰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국토교통부는 8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건설산업 활력 회복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 지원을 위한 업계 간담회를 열고 관계자들로부터 안건 제안 발표를 들었다.

간담회에는 박상우 국토부 장관과 대한건설협회, 전문건설협회, 한국주택협회, 대한주택건설협회, 부동산개발협회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건설공제조합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업계에서는 물가 인상으로 적정 공사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공공사업에 참여하는 건설사들은 통상 발주처가 제시한 공사비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제시하고, 경쟁을 거쳐 낙찰받는다. 이 과정에서 낙찰가가 떨어지고 관행적으로 공사비가 추가로 깎인다.

고금리 상황에서 금융권이 물리는 수수료가 부담된다는 문제 제기도 이어졌다. 고금리는 국제적 현상이라 어쩔 수 없지만, 불합리한 수수료 관행으로 금융 비용 부담이 커지는 일은 개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공사를 해 봤자 손해라고 판단한 건설사들이 입찰에 뛰어들지 않으면 공공사업이 지연되고, SOC 예산 상반기 조기 집행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이런 문제를 정부가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니며 국토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가 문제 인식을 함께하고 있다"면서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정부 역할을 어디까지 가져갈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건설공사비지수를 활용한 물가 보정 등 공공사업의 공사비 책정을 현실화하는 방안을 마련해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공사비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에 비해 2.5배 가까이 뛰었다.

민간공사의 공사비 분쟁과 관련해서는 신규 사업장의 경우 정비사업 특화 표준계약서를 활용해 물가 인상을 공사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기존 사업장에는 전문가를 파견해 공사비 갈등을 중재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1월 중 조합과 시공사가 갈등을 겪는 정비사업 현장 4곳에 전문가가 파견됐다.

업계에서는 중과세 완화 등 주택 수요 진작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지만, 이에 대해서 정부는 아직까지 신중한 입장이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이번 정부 들어 종부세가 완화돼 있는 상황이고 양도세 (중과 배제) 같은 경우 매년 1년씩 유예가 유지되고 있다"며 "취득세의 경우 (완화를 위한) 지방세법 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됐기에 추가 세제 조치가 필요할지에 대해서는 정부 내에서 여러 논의를 거쳐 판단할 부분"이라고 했다.

간담회에서 발제에 나선 건설산업연구원은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거라는 소비자들의 기대가 확산돼 있지만, 공급자인 건설사 입장에서는 높아진 건설 원가로 분양가를 인하하기 곤란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정주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공급 감소로 인한 향후 주택 가격 상승 가능성을 고려하면 수도권 일부 선호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수요가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이는 브랜드 가치가 높은 대형 건설사 위주일 것이라 건설경기의 단기간 내 정상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