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2.6%···"하반기 2% 초중반까지 둔화 예상"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정부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올려 잡았다. 수출 회복세가 반도체를 중심으로 예상보다 양호한 데다,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 등 민간소비 제약요인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3일 기획재정부는 '2024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기존 2.2%에서 2.6%로 0.4%포인트(p) 상향 조정했다.
해당 전망치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와 같고, 한국은행(2.5%)과 국제통화기금(IMF, 2.3%)의 전망치 보단 높은 수준이다. 또한 내년 성장률도 잠재 수준을 상회하는 2.2%로 전망했다.
이 같은 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한 배경에 대해 기재부는 예상을 웃도는 수출 회복세를 꼽았다. 분기별 수출 증감률(전년 동기 대비)을 보면 △2023년 1분기(-12.8%) △2023년 2분기(-12.0%) △2023년 3분기(-9.7%) △2023년 4분기(5.7%) △2024년 1분기(8.1%) △2024년 2분기(10.0%) 등으로 꾸준한 상승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세계경제의 완만한 성장세, AI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경기 호전 등으로 하반기에도 수출 개선 흐름을 지속할 전망"이라며 "내년에는 올해 기저영향이 있겠지만, 글로벌 고물가·고금리 영향 완화, 세계교역 개선, 반도체경기 호조 지속 등이 성장세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문별로 보면 수출(통관기준)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8.5%에서 9.0%로 0.5%p 상향 조정했다. 반면 수입 전망치는 기존 4.0%에서 2.0%로 낮췄다.
이렇듯 수출 회복세와 수입 감소세가 교차되면서 경상수지는 630억달러 흑자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기존 전망 대비 130억달러 증가한 규모다.
다만 해외여행 증가와 지난해 일시적 배당유입 확대 효과 소멸 등의 영향으로 서비스·소득수지는 작년 14억달러 흑자에서 90억달러 적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수에 대해서는 물가 등 제약 요인이 완화되고 있지만, 부문별로 회복 속도가 차이날 것으로 전망했다.
먼저 민간 소비는 기존 1.8%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유지됐다. 가계 이자 부담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물가 둔화와 기업실적 개선에 따른 가계 실질소득 증가로 소비 제약 요인이 완화될 것이란 설명이다.
건설투자 전망치도 기존 -1.2%가 유지됐으며, 설비투자 전망치는 기존 3.0%에서 2.0%로 하향 조정됐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수출 증가에 따른 투자 수요로 설비 투자는 회복세가 예상되지만, 신규공사 위축과 부동산 PF 리스크 등으로 건설 투자는 어려운 여건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6%가 유지됐다. 기재부는 "상반기 농산물과 석유류 등 품목의 가격 변동이 심해지며 물가 상방 압력이 다소 확대됐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공급측 요인이 완화되면서 2% 초중반까지 물가가 둔화될 것"이라며 "다만 국제 에너지 가격 변동성과 기상여건 등 높은 불확실성이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정부는 올해 취업자가 23만명 증가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는 상반기 전망과 같다. 고용률은 62.8%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회복 흐름이 이어지면서 고용률이 유지되겠지만, 최근 2년간 큰 폭 증가한 기저효과로 증가폭이 전년과 비교해 둔화될 것이란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