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조아, 이서영 기자]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의 정보 유출 우려로 인해 증권사에 이어 자산운용사도 접속 차단에 나섰다. 특히 금융당국이 생성형 AI 사용에 대한 당부 메시지를 보낸 가운데, 일부 운용사는 아직까지 딥시크 차단을 하지 않았다.
6일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신한자산운용과 키움투자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은 본래 회사 전산망에서 생성형AI를 사용할 수 없다. 일부 원하는 직원만 회사에 허락을 받아 사용하는 구조인데, 딥시크 사용을 신청한 이가 없다는 게 회사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경우 그동안 챗(Chat)GPT 접속은 가능했다. KB자산운용도 마찬가지로 이번 사태로 딥시크 접속만 별도로 차단했다.
이와 함께 이지스자산운용, 코람코자산운용은 이날부터 PC에서 딥시크 접속이 불가능해졌다.
다만 한국투자신탁운용, 한화자산운용은 아직 공식적으로 딥시크 접속이 차단되진 않았다.
한화운용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아직 막은 건 없지만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면서 내부적으로 보안 전반에 대한 부분을 강화하고 있다"고 답했다.
현재 증권사 중에서는 미래에셋증권, 한화투자증권, IBK투자증권, iM증권, 키움증권 등이 차단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이날 전자금융거래법이 적용되는 금융·증권·자산운용사 등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이용에 주의하라는 당부의 메시지를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