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체제어시스템 장착시 車사고율 35% 감소
차체제어시스템 장착시 車사고율 35% 감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연구결과 발표
최근 5년간 자동차보험 자손사고 데이터 분석
[서울파이낸스 박민규 기자] 차량에 차체제어시스템을 장착할 경우 사고율이 35%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는 1일 차체자세제어시스템(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의 사고방지능력에 대한 연구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자동차기술연구소가 최근 5년간(2002~2006년) 자동차보험 자기신체손해(자손)담보의 단독사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ESC를 장착한 차량이 그렇지 않은 차량에 비해 사고율이 35.3%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ESC가 장착된 차량은 29만6616대 중 339대의 사고가 발생해 0.11%의 사고율을 보인 데 비해, ESC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2901만8453대 중 4만9088대 사고가 발생해 0.17%의 사고율을 보인 것이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미국 도로안전보험연구소(IIHS: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연구결과에서도 ESC 장착을 통해 모든 종류의 치명적 사고를 약 56% 정도 줄일 수 있음이 증명된 바 있다.

또한 자동치기술연구소가 직선도로에 장애물을 설치해 차선이탈 여부를 시험한 결과 ESC를 장착한 경우 53.1%의 성공률을 보였다. 반면 ESC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 28.1%의 성공률을 나타냈다. 즉, ESC의 장애물 회피 성공률이 약 1.9배 높은 셈이다.

특히 차체가 높은 SUV(Sports Utility Vehicle)의 경우 ESC 효과가 더욱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SUV의 장애물 회피 성공률은 장착시와 미장착시 각각 50.0%·18.8%로 약 2.7배 차이를 보였다.

이에 비해 승용차의 경우 ESC 장착시와 미장착시 각각 56.3%·37.5%의 장애물 회피 성공률을 기록해 약 1.5배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함께 ESC 장착시 곡선도로 통과 성공률도 미장착시에 비해 약 10%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젖은 곡선도로에서 차선이탈 여부 시험 결과 ESC 장착시 성공률은 77.4%로 미장착시 70.2%에 비해 7.2%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무엇보다 승용차와 SUV 모두 ESC를 장착시 성공률이 미장착시보다 약 10% 높았다.

한편 미국과 유럽은 ESC 장착 의무화를 추진중이다.

미국은 오는 2011년 9월 이후 생산돼 자국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량에 ESC를 의무적으로 장착하는 법규를 제정, 지난 2007년 공표했다.

유럽 역시 오는 2012년부터 유럽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규 승용차에, 2014년부터 모든 차량에 ESC를 의무적으로 장착하는 법률을 제정·공표한 바 있다.

이에 보험개발원은 ESC 장착률 제고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자동차기술연구소 관계자는 "ESC는 사고발생 자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미국·유럽과 같이 ESC의 장착률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시급하다"며 "ESC 장착차량에 대한 보험료 할인 등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ESC의 장착으로 모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자동차 사용자의 안전운전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