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임금·대학 등록금 인상 자제해 달라"
MB, "임금·대학 등록금 인상 자제해 달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문선영 기자]이명박 대통령이 민간 기업들에게 임금을 인상하지 말 것을 사실상 권고했다. 또, 대학총장들에게는 등록금 인상 자제를 요청했다.

15일 오전 대한상의에서 대기업 사장단과 만난 자리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임금수준 안정화에 대한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묻는 전경련 부회장의 질문에 "공직자 임금이 2년간 동결됐다"며 "이를 민간 기업에 주는 메시지로 생각해달라"고 말했다. 기업 스스로 결정할 일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사실상 임금인상 자제를 권유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이어 "투자를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기업의 몫"이라며 "토지와 인건비 부담을 줄여주고 노사관계 선진화도 확고하게 해나가겠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낮 주요 대학 총장들과도 만나 대학 등록금 인상자제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올 1학기부터 시행될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가 대학들이 등록금을 올리는 계기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며 동결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등록금 문제는 대학 자율이 원칙이라고 전제하고, 그러나 올해는 어려운 경제 사정을 감안해 취업 후 학자금 상환제가 도입되는 만큼 등록금 인상이 시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며 자제를 요청했다.

이런 가운데, 대학들의 동참이 줄을 잇고 있다. 가장 먼저 등록금 동결을 선언한 서울여대를 비롯해 이화여대, 숙명여대에 이어 고려대가 오늘 등록금 동결 의사를 밝혔다.

국공립대 총장들은 대부분 등록금 동결이 바람직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오늘까지 등록금 동결 의사를 명시적으로 밝힌 대학은 52개 대학이며, 이런 분위기는 점차 확산되는 추세다.

이 대통령은 또 총장들에게 입학사정관제의 안정적인 정착도 당부했다.

특히, 한 달 수입 백만 원 가운데 70만 원씩을 매달 기부하는 김밥 장수 김수자 씨 사례를 들며, 사교육을 못 받는 이런 분들의 자녀들이 입학 사정관제를 통해 대학에 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이 새해 국정연설에서 교육문제를 직접 챙기겠다고 밝힌 만큼 친서민 정책 차원에서 앞으로도 대통령의 교육 행보는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