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집값 전망···중개업소 63% "하락" vs 부동산 전문가 64% "상승"
올해 집값 전망···중개업소 63% "하락" vs 부동산 전문가 64% "상승"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시내 전경. (사진=노제욱 기자)
서울 시내 전경. (사진=노제욱 기자)

[서울파이낸스 노제욱 기자] 지난해 전국 주택 가격이 15% 상승해 19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올해 주택 시장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중개업소의 63%는 올해 집값 하락을 예상했지만, 건설·학계·금융 등 부동산 전문가의 64%는 반대로 상승을 전망했다.

20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KB 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전국 주택매매 가격은 15% 올라 지난 2002년 이후 가장 높은 연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한 해 상승폭이 2016∼2020년 5년간의 오름폭과 맞먹는다는 게 연구소의 설명이다.

지역별 상승률은 인천(23.7%)이 1위였고 경기(22.5%), 대전(17.0%), 서울(12.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는 노원구(21.7%), 도봉구(20.1%), 강북구(16.9%), 양천구(15.5%), 구로구(15.4%) 등에서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집값은 크게 뛰었지만, 지난해 주택거래량(약 101만5000호)은 전년보다 20.6% 줄었다.

전셋값의 경우 지난해 전국에서 9.4%, 수도권에서 11.3% 올랐다.

(자료=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자료=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연구소는 보고서에서 지난달 5∼11일 공인중개사 527명, 건설·시행·학계·금융 등 분야의 부동산 전문가 161명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올해 주택매매시장 전망을 묻자 공인중개사의 63%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수도권 중개사의 54%, 비수도권 중개사의 53%가 하락 전환을 예상했고 '3% 이내' 하락폭을 예상한 중개사(38%)가 가장 많았다.

중개사들은 하락 요인으로 대출 규제, 매매 가격 부담, 매매 비용 증가 등을 꼽았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의 경우 64%가 올해 집값이 더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수도권 집값 상승을 예상한 전문가 비율이 74%에 이르렀고, 올해 수도권 상승률로는 33%가 '3% 이내'를 지목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집값 상승 전망의 근거로 공급 물량 부족(25%), 대선 이후 정책 변화(16%), 정부 규제 강화에 따른 매물 감소(14%) 등을 들었다.

아울러 연구소는 주택가격 급등에 따른 버블(거품) 논란을 점검한 결과, 버블 붕괴에 따른 집값 급락보다는 완만한 조정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연구소는 "외환위기 당시와 같은 충격이 없다면 급락 요인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며 "무엇보다 주택이라는 자산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높다는 점이 큰 이유"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서울과 수도권만 다소 완만한 조정이 있었고, 지방의 경우 오히려 2010년부터 장기 상승세에 진입하면서 '주택은 장기적으로 우량자산'이라는 믿음이 커졌다는 주장이다.

연구소는 "지금도 장기간 주택시장 상승으로 주택에 대한 신뢰가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급락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주택가격이 2019년 다소 진정됐다가 2020∼2021년 다시 오르면서, 1세대 1주택 보유 가구 중 고가주택 거주 가구의 종합부동산세 부담도 현실이 됐다고 분석했다.

지난 2015년 말 기준 12억5000만원이었던 강남구 E아파트 시세는 2019년 말 16억1000만원, 2021년 말 30억3000만원으로 급등했고 이에 따라 1주택자 기준 종부세(농어촌특별세 포함)가 2020년 295만원에서 2021년 709만원으로 400만원 이상 늘었다는 설명이다. 이 아파트의 올해 종부세는 1021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00만원 넘게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서초구 D아파트의 시세도 2015년 말 9억8000만원에서 2019년 말 17억9000만원, 2021년 말 23억3000만원으로 올랐다. 이에 따라 종부세 역시 2020년 103만원에서 지난해 158만원으로 50만원 이상 증가했고, 올해의 경우 250만원가량 늘어난 408만원에 이를 것으로 연구소는 전망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