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버넌스포럼 "삼성전자 임원 성과급 주식 지급···선진국형 보상 체제"
거버넌스포럼 "삼성전자 임원 성과급 주식 지급···선진국형 보상 체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미있는 첫 걸음···주식보상제도 세부 내용은 아쉬워"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오세정 기자)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삼성전자가 대표이사 포함 임원 1000여명에게 성과급 일부를 회사 주식으로 지급한다는 보상 정책과 관련해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20일 삼성전자의 이번 성과급 보상 정책과 관련해 "주주, 이사회, 임직원 사이 얼라이먼트(정렬) 부재를 해결하기 위한 의미있는 첫 단추"라고 밝혔다. 

앞서 포럼은 지난해 10월 15일 '삼성전자 미래를 위한 3가지 제안'이란 논평에서 △경영과 책임의 일치를 추구하는 지배주주가 없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선진국형 전문경영인 경영체제로 전환 준비 △이사회를 전문가 위주로 업그레이드하고 독립성 보장 △글로벌 관점에서 보상체계 개편을 요구했다. 

또 삼성전자 핵심인력은 글로벌 수요가 많으므로 실리콘밸리에서 보편화된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같은 주식보상제도를 즉시 도입해 인재 이탈을 막으라고 당시 이사회 및 경영진에 주문했다. 포럼은 "주식보상제도 도입을 계기로 바닥에 떨어진 기술인력 사기를 진작하고 주주가치 제고를 경영의 근간으로 삼아서 과거 권위적인 삼성의 '관리문화'를 극복하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포럼은 "주식보상제도 취지는 좋으나 아쉬운 점은 핵심 기술인력 입장에서는 장기 인센티브라고 하기에는 주식부여 절대금액이 적고 조건도 붙어있다"며 "실제 주권 지급은 1년 후에 이뤄지는데 주가가 그 사이 떨어지면 애초 약속한 주식 지급량 보다 감소한다는 내용도 수긍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긍정적 관점에서 사기 진작하고 우수직원 이탈 막으려는 실리콘밸리 주식보상정책과 많이 다르다"며 "실리콘밸리는 산업 다운사이클에서 인센티브 총액은 축소될 수 있지만 주가 하락으로 오히려 부여받는 주식 수는 증가한다. 이는 우수인력의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