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1번지' 대치동, 81개월 만에 3천만원 '붕괴'
'사교육1번지' 대치동, 81개월 만에 3천만원 '붕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년9개월 만에 3.3㎡당 2985만원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최고 학군과 중대형 아파트를 무기로 한때 전국 최고가를 자랑했던 서울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값이 81개월 만에 3.3㎡당 3000만원 아래로 떨어졌다.

5일 부동산1번지 시세조사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 매매가는 3.3㎡당 2985만원으로, 2006년 3월 이후 6년 9개월 만에 3000만원대가 무너졌다. 가장 높은 매매가를 기록한 곳은 강남구 개포동으로, 3.3㎡당 3662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어 서초구 반포동(3608만원), 강남구 압구정동(3330만원) 순이었다.

재건축 소형 아파트가 많아 미래가치가 반영된 개포동을 제외하면 강남구 대치동은 사실상 2006년 말까지 학군 프리미엄과 재건축 바람으로 압구정동을 제치고 전국 최고 아파트 자리를 꿰차고 있었다.

특히 우성, 미도, 선경아파트는 명문중학교로 배정받을 수 있는데다 지은 지 30년 가까이 된 아파트 가운데 드물게 중대형으로 구성돼 이른바 대치동 '빅3'으로 불렸다. 또 대치주공을 재건축해 최고가 아파트로 거듭난 동부센트레빌과 재건축시장의 '바로미터'격인 은마아파트가 포진돼 있어 강남 속의 강남으로 불렸다.

이에 대치동은 '강남불패' 신화를 주도하면서 2006년 1월 3.3㎡당 2687만원에서 12월 3954만원으로 올라 한 해 동안만 무려 47.1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2007년 정부의 1.11대책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하락세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주택시장 침체와 사교육시장 불황까지 겹치면서 3000만원대 마저 붕괴됐다.

한편 압구정동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 재임 당시 나온 '한강르네상스' 개발에 힘입어 대치동을 따돌리고 다시 최고가 자리를 찾아왔다. 하지만 부동산 침체와 함께 박원순 서울시장의 한강르네상스 출구전략 이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해 그동안 강남에서 각광받지 못했던 서초구 반포동은 반포2, 3단지를 재건축한 반포자이와 래미안퍼스티지가 입주하면서 신흥 강자로 떠올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반포자이가 미분양 되기도 했지만 서울의 신흥 부촌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올 들어 집값 1위 지역으로 올라섰다.

채훈식 부동산1번지 실장은 "'사교육1번지'로 불리며 최고가를 자랑하던 대치동은 학군수요의 감소와 중층 재건축 및 중대형 주택시장의 불환, 도곡·역삼·반포동의 재건축 신규 랜드마크 아파트 등장은 집값 하락의 결정타가 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