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창규 KT회장 "4조5천억 투자 기가인프라 구축"
황창규 KT회장 "4조5천억 투자 기가인프라 구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황창규 KT 회장. 사진=KT
[서울파이낸스 이철기자] KT가 현재 광랜보다 10배 빠른 기가 인프라 구축을 위해 향후 3년간 4조5000억원을 투자, '융합형 기가 시대'를 주도하는 경영계획을 제시했다.
 
황창규 KT 회장(사진)은 20일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가 인프라 구축을 통한 '기가토피아' 실현, 5대 미래 융합서비스를 육성 계획 등을 밝혔다.
 
◇인터넷보다 10배 빠른 '기가인프라' 구축
 
우선 KT는 향후 3년간 4조5000억원을 투입해 유무선이 통합된 기가 인프라를 구축한다. 기가 인터넷은 기존 인터넷보다 10배, LTE에 기가 와이파이를 결합한 이종망 융합기술(GiGA Path) 및 구리선 기반 초고속 전송기술(GiGA Wire)은 기존보다 3배 빨라진다.
 
이같은 기가 인프라를 기반으로 울트라 HD(UHD) 기가 TV도 연내 상용화 될 예정이다.
 
KT는 DMB보다 10배 선명한 화질의 동영상 전송 기술인 '올레파워라이브(eMBMS)'를 도심밀집 지역에 6월까지 확대 적용한다. 내년 하반기까지는 서울 주요지역 지하철에도 적용, 수 만명이 밀집한 장소에서도 끊김 없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융합형 도서 산간 지역에도 기가 인프라를 통해 섬마을 지역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기가 아일랜드'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이 프로젝트는 올 하반기 전라남도 도서 산간지역에서 시작해 전국으로 확산될 계획이며, 마을회관에 기가 인터넷과 올레 TV 등을 제공, IT 사랑방을 운영하는 등 소외된 지역의 교육·문화 격차 해소에 일조할 전망이다.
 
◇5대 미래 융합서비스 선정…집중 육성
 
또한 KT는 핵심 역량인 인프라와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을 기반으로 5대 미래 융합 서비스를 선정하고 중점 육성한다.
 
이를 통해 2017년 기준 약 119조원의 시장규모가 예상되는 △스마트 에너지 △통합 보안 △차세대 미디어 △헬스케어 △지능형 교통 관제 등 5대 분야에서 통신과 이종 산업간의 시너지 성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KT에 따르면, 스마트 에너지 융합에너지 최적화 프로젝트인 'KT-MEG'(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를 중심으로 국가 전력위기 예방과 함께 에너지 사용량을 15% 이상 줄일 수 있다. 또한 통합 보안으로 개인과 산업현장의 안전과 국가적 재해 재난 대응체계 구축에도 기여 가능하다.
 
또한 KT는 차세대 미디어는 홀로그램 등 미래형 콘텐츠 발굴과 새로운 미디어 기술 개발로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진출을 선도할 예정이며, 헬스케어를 통해 유전체 특성에 따른 맞춤형 치료 개발에 나선다. 지능형 교통 관제를 통해서는 물류운송 선진화와 교통혼잡비용 감소에 앞장선다는 각오다.
 
KT 미래융합전략실은 ICT 융합 서비스 등 미래 먹거리 분야를 발굴하고 시장분석을 통해 신사업 추진 전략을 수립한다는 목표다. 또한 융합기술원은 R&D 역량을 기반으로 차세대 핵심기술을 내재화하는 한편, 미래융합전략실이 발굴한 미래 먹거리의 사업화를 진행할 계획이다.
 
황 회장은 다음달 중순 중국 상해에서 개최되는 모바일 아시아 엑스포(MAE)에서도 기조연설을 통해 이러한 청사진을 제시할 예정이다.
 
황 회장은 "융합형 기가 시대를 열고 ICT와 타 산업의 화학적 융합을 주도, 대한민국 사회의 기(氣)를 살리겠다"며 "기가토피아를 실현해 고객, 산업, 국가를 위한 소명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