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비후성심근증 치료 신약 개발 '잰걸음'
셀트리온, 비후성심근증 치료 신약 개발 '잰걸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셀트리온 CI
셀트리온 CI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셀트리온은 비후성심근증(HCM) 신약 후보물질 'CT-G20' 독점 판권을 일본 제약사에 넘기고, 다음 달 국내에서 임상시험을 시작하며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25일 밝혔다.

셀트리온이 일본 제약사와 맺은 총 계약 금액은 2500만달러(283억원)다. 계약 시점에 10%인 250만달러를 먼저 받은 뒤 상업화 과정에 따른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로 2250만달러를 받을 수 있다. 합의에 따라 일본 제약사는 일정 기간 비공개된다.

셀트리온은 내달 초 국내에서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해당 신약 후보물질 첫 임상시험을 개시할 예정이다. 오는 2022년 말까지 임상 3상 시험을 종료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임상 종료 후에는 셀트리온 제약에서 CT-G20을 생산해 미국, 일본에 선보일 계획이다.

비후성심근증은 좌측 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심장 질환이다. 비후성심근증 환자들은 좌심실의 내강이 협소해지고 유출로가 폐색되면서 심장 이완 기능이 떨어진다. 심정지 돌연사, 심부전 같은 합병증을 얻기도 한다.

현재 세계에서 비후성심근증 치료제로 공식 승인받은 의약품은 없다. 비후성심근증 환자들은 호흡곤란, 피로감, 두근거림 등의 증상 완화를 위해 고혈압 치료제나 항부정맥 치료제를 사용한다.

미국 내 비후성심근증 환자는 약 65만명으로, 이 중 폐쇄성 비후성심근증을 앓으면서 약을 복용하는 환자는 약 12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이들의 1인당 연간 약제비는 2500만원에 달해 신약 후보물질의 개발이 성공할 경우 미국에서만 약 3조원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셀트리온은 기대하고 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