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밸류업 원년'인 올해 연말이 다가오면서 기업들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가 잇따르고 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코스피·코스닥 상장사는 모두 60곳이다.
예고 공시를 한 25곳을 합치면 모두 85곳으로 전체 상장 기업 수 2621개의 3.24%에 불과하다.
그러나 시가총액 기준으로 보면 상황이 달라진다. 지난 29일 종가 기준으로 본 공시와 예고 공시를 한 기업들의 시총은 755조8895억으로 코스피·코스닥 전체 시총(2011조4214억원)의 37.58%에 해당한다.
금융당국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 가이드라인이 발표된 시점이 5월 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6개월 만에 이뤄낸 성과다.
KB증권(37조8574억원) △신한지주(26조6826억원) △메리츠금융지주(19조4534억원) △하나금융지주(17조9238억원) △우리금융지주(12조487억원) △카카오뱅크(10조6602억원) 등 주주환원 여력이 큰 대형 금융주가 초반 분위기를 끌어올렸고 이어 △SK하이닉스(116조4076억원) △LG에너지솔루션(89조2710억원) △현대차(45조7574억원) △현대모비스(22조2723억원) △LG화학(20조482억원) 등 시총 최상위 기업들이 참여하면서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한 참여 비율이 크게 올라갔다.
시장별로도 차이가 극명하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기업을 시장별로 보면 코스피가 56곳인데 반해 코스닥에서는 △ISC △디케이앤디 △에스트래픽 △에프앤가이드 4곳뿐이다.
예고 공시도 코스피 상장사는 △두산밥캣 △기업은행 △애경산업 등 16곳이지만, 코스닥 상장사는 태광, 파트론 등 9곳으로 절반 수준이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 본 공시 예정 시기도 코스피 기업은 모두 4분기인데 반해 코스닥 기업 9곳 중 4곳은 내년 1~2분기로 늦다.
한편 거래소는 이달 6일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이행한 기업을 대상으로 밸류업 지수 신규 편입 여부를 심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