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박근혜 정부 양극화·실업문제 해결 필요"
김종인 "박근혜 정부 양극화·실업문제 해결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최재연기자]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위원장이 박근혜 정부에 대해 양극화 문제 및 실업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주문했다.

김 전 위원장은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CEO초천 강연회를 갖고 경제민주화의 의미와 추진 배경, 한국 경제 회복을 위한 과제 등을 소개했다.

그는 "글로벌 경제가 금융위기는 극복한 듯 하나 실물경제는 여전히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괴리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각국 중앙은행이 푼 돈이 실물과 연결되지 않고 금융시장 내에서만 작동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최근 글로벌 경기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있지만 미국의 실물경제가 올해 안에 해결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유로존 역시 정치적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세계 경제 평균 성장률을 3.5%로 봤을 때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은 그 미만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를 막기 위해 차기 박근혜정부가 양극화 해소와 실업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 경제의 회복을 위해서는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와 같은 수출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 등 작은 경제단위의 역동성이 필요하다고 내다봤기 때문이다.

그는 "지금은 일부 대기업의 국제경쟁력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만 국민들이 보다 역동적으로 창의력을 발휘하지 않으면 경제 상황을 개선키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환율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는 일본에 대해서는 '아베노믹스'가 '잃어버린 20년'을 극복할 수 있다는 생각에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현재 GDP의 230%에 해당하는 부채를 지닌 일본이 평가절하라는 경기부양책으로는 재정적자라는 더 큰 위험에 빠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 질의응답에서 그는 자신의 경제민주화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추진했던 민주주의 시장경제와의 차이점을 묻는 질문에 "서로 관련이 없다"고 답했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은 경제민주주의 개념자체가 정립이 안 됐던 사람"이라며 "신자유주의적인 개념을 가지고 민주주의 시장 경제를 이야기했으며, 결과적으로 당시 분배 상황이 더 악화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의 증시 개입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는 "국민연금은 65세 이상 노인의 생활 안정을 위한 기금인데 이것을 증시에 집어넣는 것은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