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美 6~7월 금리인상 유력…공포심리 과도"
증권가 "美 6~7월 금리인상 유력…공포심리 과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차민영기자] 미국의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보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올해 첫 금리인상 시기로 6~7월이 유력시되고 있다. 다만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여파에 대해서는 '과도한 우려'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 "6월보다 7월 금리인상 가능성"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은 오는 14~15일 FOMC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앞서 연준이 의사록을 통해 밝혔듯 핵심은 고용시장 개선의 연속성, 목표 물가수준 도달 여부, 2분기 경제성장률 등이다.

일단 국내 증시 전문가들은 이달 혹은 7월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당초에는 7월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돼 왔으나, 최근 연준 인사들이 공개 석상에서 잇따라 매파적 스탠스를 취하면서 금리인상 예상시기가 앞당겨졌다.

정승재·정유정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6월 금리를 동결하고 추후 인상 시기를 정하지 않을 경우 위험자산은 당장 시간을 벌겠지만 연준의 신뢰는 훼손될 것"이라며 "9월과 11월은 대선 직전인 만큼 액션 부담이 높고, 12월은 시기가 너무 늦다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당장 이달보다는 7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매파적 발언의 핵심 근거인 미국 경제지표들의 회복세가 꾸준히 이어지기는 힘들다는 분석에서다.

박중제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6월 회의 이전까지 (향후 데이터에서) 지속적인 회복세를 확인하기 쉽지 않다"며 "무엇보다 금리인상의 비대칭성의 문제가 4월 회의록에서도 확인된 것처럼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 "美 금리인상, 주가에 선반영"

다만 증시 전문가들은 당장 미국의 금리인상이 단행되더라도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 주가에 선반영된 이슈라는 점에서다.

김성환 부국증권 연구원은 "올해 1월과 같이 금리인상 리스크로 인한 패닉 장세가 재현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특히 국내 증시의 경우 실적 및 단기 지수 조정에 따른 밸류에이션 메리트 등을 고려할 때 하방 우려는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실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200 변동성지수(V-KOSPI200)는 지난 27일 종가 기준 11.55까지 내려 올 들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변동성지수는 투자자들의 공포심리를 반영하는 일종의 '공포지수'로 수치와 시장 내 불확실성이 비례 관계에 있다.

실제 김 연구원이 지적한대로 국내 증시가 패닉장세를 연출했던 연초 코스피 200 변동성지수는 지난 1월20일 기준 24.04까지 올랐다. 이후 2월11일(22.55)에도 큰 폭으로 뛰는 등 두 차례 큰 폭의 상승을 경험했다.

반대로 미국 금리인상이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악재로만 볼 필요가 없다는 해석도 나온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 금리 상승은 기업 이익에 대한 할인율이나 주식 투자에 대한 기회 비용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도 함께 투영한다"며 "작년 12월과 달리 연준의 금리인상에 대해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조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